2016년 8월 31일 수요일

정한모 시인

정한모 시인
정한모 시인.hwp


목차
Ⅰ. 정한모의 생애

Ⅱ. 정한모의 시세계
1. 초기시에 나타난 전쟁체험과 극복의식
1) 전쟁체험의 이미지
2) 극복이미지
2. 중기시에 나타난 순수서정과 휴머니즘
1) 아가의 이미저리
2) 어머니의 이미지
3) 나비의 이미지
4) 새와 새벽의 이미지
3. 후기시에 나타난 인생관조와 원점회귀의식
1) 인생관조 의식
2) 원점회귀 의식

Ⅲ. 아가의 시인 정한모


<참고문헌>



본문
Ⅱ. 정한모의 시세계

시에는 삶에 대한 시인들의 독특한 경험과 체험에 대한 의식이 나타나 있다. 정한모는 전쟁을 체험한 시인으로 이러한 경험이 시의 모태가 되어 그의 시에는 전쟁체험에 대한 이미지나 생명의식에 대한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정한모의 시세계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그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초기시는 1950년대 발간된 『카오스의 蛇足』과 『餘白을 위한 抒精』으로 볼 수 있으며, 중기시는 1970년대에 발간된 『아가의 房』과 『새벽』이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후기시는 『아가의 房 別詞』와 『原點에 서서』로 볼 수 있다.

1. 초기시에 나타난 전쟁체험과 극복의식
초기시에 나타난 정한모의 시들은 전쟁 이라는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어 있는 시들이 많다. 시에 나타난 그의 의식세계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으면서 더 나아가 정신적인 성찰까지를 포함하여 표현하고 있다.

1) 전쟁체험의 이미지
1958년 발간된 『카오스의 蛇足』을 보면 절망적인 현실에서 벗어나려는 극복이미지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전쟁이 가져다 준 교훈으로 생명에 대한 애착이 보다 강하게 나타난 결과이며 이러한 생명현상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볼 때 정한모가 전쟁체험을 詩化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김영철, 한국현대시 정수, 박이정, 1997
김영옥, 정한모의 시세계 연구: 시의 이미지와 의미 구현을 중심으로, 중앙대 대학원 석사논문, 2010
이병철, 정한모의 시의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전미정, 정한모 시의 에코에로티시즘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6집, 2005
송기한, 정한모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3집, 2004
이숭원, 정한모의 인간과 삶, 시와시학 통권 제41호, 2001


하고 싶은 말
정한모 시인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정한모, 전쟁체험의 이미지, 아가, 새와 새벽, 원점회귀의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