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0일 화요일

이형기 시인

이형기 시인
이형기 시인.hwp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시인 이형기의 생애
2. 시인 이형기의 시세계
1) 자아와 세계의 상호 조응
2) 자아와 세계의 대립
3) 자아와 세계의 균형감각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1. 이형기 시인의 생애
이형기는 1933년 1월 6일, 경상남도 사천군 곤양면 서정리에서 이경성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이형기의 자전적 기록에 의하면, 1936년 아버지가 가족의 생계를 위해 진주로 이사했다고 한다. 트럭운전기사였던 아버지는 아침 일찍부터 밤 늦게까지 일을 하여 집안을 일으켰고, 1939년 이형기를 요시노 소학교에 입학시켰다. 초등학교 시절 이형기는 교과서 대신 동화와 소설, 소년 잡지만을 탐독했고, 그와 그의 친구들은 '소설 미치광이 3총사'로 불렸다고 한다. 그는 독서를 통해 문학가의 꿈을 갖게 되지만, 아버지의 권유로 진주농업학교에 진학한다. 그런데 1946년 아버지가 폐결핵으로 돌아가신 뒤 가세는 급격히 기울었고, 이형기는 노동을 하며 학업을 계속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교내 신문에 시 한 편과 평론 한 편을 투고했고, 이로써 문학가의 꿈이 다시 시작되었다. 그리고 1949년, <문예>지 12월 호에 「비오는 날」, 1950년 4월호에 「코스모스」, 6월호에 「강가에서」가 추천되면서, 그는 17세의 나이에 시인이 되었다. 그는 원고료를 받아 살림에 보태고 대학진학도 할 수 있으리라는 꿈을 품었지만, 그의 부푼 꿈은 6.25 전쟁과 함께 무너져 내렸다.
그는 비참한 전쟁 속에서 피난생활을 겪었고, 어머니가 어렵사리 모은 돈으로 동국대학 불교학과에 진학한다. 대학 입학 후 거처를 부산으로 옮긴 이형기는 당시 유명한 문인들이 자주 다니던 <금강> 다방에서 문인들의 얼굴을 익혔으며, 셰스토프의 천재의식과 허무주의 철학에 심취했다. 1953년, 그는 학생 신분으로 연합신문에 취직하게 된다. 그는 문학가의 꿈을 포기하고 싶을 만큼 신문기자에 대한 열정을 불태웠다. 그는 기자생활과 시작활동의 갈등 속에서도 1957년 제2회 한국문인협회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맹승렬, 이형기 시 연구 : 생태시 를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 2008
채재준, 이형기 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최주형, 김형기 시의 '물'의 이미지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목필균, 이형기의 생애와 시의 전개 과정, 문예운동, 2008 여름호
유성호, 침묵의 파문, 창작과 비평사, 2002,


하고 싶은 말
이형기 시인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이형기, 이형기의 시세계, 자아와 세계의 상호조응, 균형감각, 루시의 죽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