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0일 화요일

뉴 미디어 SNS

뉴 미디어 SNS
뉴 미디어 SNS.hwp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민주주의의 시작부터 웹 1.0시대 이전까지
2. 웹 2.0 시대
1) 마이 스페이스(싸이월드)와 유튜브
2) 트위터(Twitter)와 팟캐스트(Podcast)
3) SNS에 대한 규제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1. 민주주의의 시작부터 웹 1.0시대 이전까지
웹 2.0이란 사용자가 주체가 되는 새로운 인터넷 환경을 일컫는 말이다. 이 용어는 '오라일리'사와 컴덱스 쇼를 주최했던 '미디어라이브'사가 2004년 초 IT 관련 회의에 대한 아이디어를 협의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 오라일리사의 데일 도허티 부사장이 과거 닷컴 버블에서 살아남은 닷컴 기업들에서 발견되는 특징들을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면서 웹 2.0 시대라는 용어를 쓴 것이다. 그 이후 웹 2.0과 대비되는 개념에서 웹 1.0이라는 말이 생겨나게 되었다. 웹 1.0은 웹 2.0 시대 이전의 패러다임으로서 정보와 서비스의 생산자, 사용자 구분이 명확하며 정보와 서비스의 생산, 공급이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지칭한다.
이 시대에 속하는 미디어로는 신문, 라디오, TV 같은 기존 언론매체가 있다. 초기 근대사회의 언론이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정부에 대한 감시자 역할을 할 주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언론이 그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독립이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 초기 가장 영향력이 큰 언론이었던 신문은 독자들로부터 구독료를 받고 기업의 광고를 실음으로써 정부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였다. 이로써 신문은 정부를 감시하고 정부의 부패에 대해 자유롭게 비판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었다. 신문의 사회적 영향력은 19세기말과 20세기 초를 거치면서 더욱 강화되면서 언론이 '제 4의 권력'이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다.
이렇게 언론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정치권력은 언론을 통제하고 조작하려 하였다. 사회주의 국가의 경우 직접적인 방법을 통해 통제할 수 있지만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경우 간접적인 방법을 통하게 된다. 간접적인 방법으로는 당근과 채찍으로 설명되는 우호의 방법과 탄압의 방법이 있다.

참고문헌
소셜네트워크 e혁명, 메튜프레이저, 수미트라두타 지음, 최경은 옮김, ㈜행간, 2010
모두가 광장에 모이다, 송인혁, 이유진, INU, 2010
세계화와 미디어 연구, 김창남 저, 양은경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권력, 언론, 시민과 여론 : 한국 사회의 부패구조에 관한 이해, 안동근, 한국부패학회보, 2005
소셜미디어에서 온라인 정치담론의 특성, 이원태 외 2명,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0
<방통위 SNS 심의, 정치적 의도 정말 없나?>, 데일리 20대 뉴스, 2011/10/21
<위헌적인 SNS 규제에 맞서자>, 류제성, 한겨레신문, 2011/11/11


하고 싶은 말
뉴 미디어 SNS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Social Networking Service, 웹 2.0, 마이스페이스, 팟캐스트, SNS 규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