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강간 통념의 정의와 사례 2. 강간 통념의 실태 -강간통념 통계 -강간범죄자 표상과 실제 -강간통념의 사회적 원인(배경) -강간통념으로 인한 이차피해 3. 개선 및 치료방안 -예방프로그램 -가해자치료 -언론 및 정부정책 4.부록 본문 예방 프로그램 성교육 프로그램 현재 우리나라 성교육은 일년에 한 두번 강당에 외부 강사를 초청 또는 시청각 자료만을 보여줌 ↓ 이는 제대로 된 성교육이라 볼 수 없으며 청소년들이 잘못된 강간 통념을 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음 ↓ 강간 통념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체계적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예방프로그램 미국 -90전 매뉴얼 보급 -5세부터 단계적 교육 독일 - 성행위 교육보다 생물학, 의학, 과학적 지식강조 네덜란드 - 토론식 성교육 - No means No - Double Dutch 일본 - 연70시간 - 실용, 구제적, 노골적 성교육 스웨덴 - 성 평등 커리큘럼 - 중1 피임기술학습 - 교내 콘돔무료배포 가해자치료 법적 접근 -보호관찰 : 포르노 접근 금지 -전자발찌 -화학적거세 -인터넷 공지 -주민에게 경고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2013)중 : 성폭행 가해자의 재발방지를 위한 CBT 채규만(성신여대 심리학과) 치료적 접근 성충동 인지모델 교육 인지왜곡 논박 성충동 생각과 부정 생각 연결하기 가족이 강간당하는 모습 연상하기 강간한 여성의 피해를 상상하기 강간교육하는 강사역할 하기 죽어서 심판하는 모습 상상하기 여성가족부 '성폭력 가해자 교정 치료 프로그램 매뉴얼 키워드 강간, 통념, 강간통념, 배경, 치료, 범죄 |
2016년 8월 29일 월요일
강간통념의 실태와 개선방안
강간통념의 실태와 개선방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