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0일 화요일

이광수의 무정 분석

이광수의 무정 분석
이광수의 무정 분석.hwp


목차
Ⅰ. 서론
1. 작가 이광수의 생애
2. 무정의 작품 개관

Ⅱ. 무정의 작품 분석
1. 인물 분석
2. 작품속의 사건
3. 작품의 주제
4. 작품의 문체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무정 작품 분석

1. 인물 분석
『무정』 속의 인물들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평범한 인물이지만 각자의 개성이 살아있고, 또 그 개성은 어떠한 계기로 변하기도 한다. 아래에서는 주요인물인 이형식ㆍ박영채ㆍ김선형ㆍ김병욱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1) 이형식
이형식은 고아로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초라한 집의 방 한 칸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외모의 인물이다. 동경 유학 후 경성학교 영어 교사로 있다. 교육자로의 삶을 천직으로 알고 교육에 힘쓰며 제자들에게도 자신의 적은 월급도 나눠 줄만큼 애정이 크다. 형식은 영채를 의심하기도 하고, 또 선형이 형식을 의심하기도 하면서 그의 교육자적 면모는 손상을 입는 듯하였으나, 형식은 삼랑진 수해 장면에서 교사의식을 회복한다.

2) 박영채
박영채는 박진사의 딸로 유교교육을 받은 순종적인 여인이다. 영채가 가진 사고방식은 과거의 전통을 물려받은 것이다. 아버지를 구하려 기생이 된 것이며, 아버지가 형식의 색시가 되라는 한 마디에 형식을 마음 한 가운데 두고 절개를 지킨다. 자기 뜻과 상관없이 폭력에 의해 순결을 잃고 그것이 부끄러워 자살하려 평양을 떠나는 것 역시 그녀가 과거의 여인 임을 방증한다. 그러나 영채는 과거의 여인 에 머무르지 않고, 김병욱의 도움으로 자아를 각성하여 근대적 여성으로의 성숙과정을 보인다.

3) 김선형
김선형은 김장로의 딸로, 기독교 집안의 개화한 신여성이다. 이형식의 약혼녀로 신교육을 받았으나 구습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고, 신교육을 더 받기 위해 미국에 유학을 간다. 과거 에 대응되는 영채에 비해 새로운 시대의 여성 이라할 선형의 모습은 생동감이 없다. 신식교육을 받았으나 진취적인 사고나 행동은 없다.

참고문헌
김윤식, 무정의 문학사적 성격, 김윤식 선집2, 솔, 1996
김윤식ㆍ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0
김윤식ㆍ김현, 한국문학사(개정판), 민음사, 2005
동국대학교부설한국문학연구회 편, 이광수연구 상ㆍ하, 태학사, 1984
송명희, 이광수의 민족주의와 페미니즘, 국학자료원, 1997
신동욱, 이광수의 장편「무정」의 문학적 가치, 이광수, 『무정』, 소담출판사, 1995
신헌재, 이광수소설의 분석적연구, 삼지원, 1986
오세영 편, 무정-오세영교수 문학강해 03, 타임기획, 2004
이상진, 한국근대작가 12인의 초상, 옛오늘, 2004


하고 싶은 말
이광수의 무정 분석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이광수, 무정 분석, 인물 분석, 작품속의 사건, 무정 줄거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