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0일 화요일

올림픽 정치

올림픽 정치
올림픽 정치.hwp


목차
Ⅰ. 서론

Ⅱ. 올림픽의 정치화
1. 올림픽의 이상과 정치적 현실
2. 올림픽의 정치적 특성

Ⅲ. 푸틴이 갖는 2014 동계올림픽 유치의 정치적 의미
1. 국내정치를 위한 기능
2. 국제정치를 위한 기능

Ⅳ. 소치의 사례분석
1. 소치의 2014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과정
2. 소치선정의 정치적 요인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올림픽의 정치화

1. 올림픽의 이상과 정치적 현실
1) 근대 올림픽의 이상
기원전 394년에 중단되었던 고대 올림픽 축제는 거의 2,000년이 지난 1896년 근대 올림픽 대회(Modern Olympic Games)라는 명칭으로 그리스 아테네에서 다시 등장하였다. 비록 공식적으로 범 세계성을 지향하고자 하는 근대 올림픽 대회의 부활이기 이전에 고대 그리스의 올림픽 제전을 부활시키고자 하는 노력들이 있었지만(Redmon, 1981), 인류의 공존과 공영에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학적 의미를 부여하지는 못하였다. 역사적 전통과 현실적 이상을 잘 조화시킨 근대 올림픽 대회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교육자였던 쿠베르탱(Pierre de Coubertin 1863-1937)이 주창한 것으로, 고대 그리스시대의 인간교육을 본받아 신체적 단련을 통하여 인간성을 고취하고자 하는 사회개혁 운동이었다(이한혁, 1995). 그는 19세기 말 산업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부조리와 불합리를 극복하기 위하여 우선 "인간성 회복"에 사회개혁 운동의 초점을 맞춰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측면의 조화로운 발달을 토대로 하였다. 또한 그는 모든 사회적, 제도적 문제들이 개개인의 의식에서 기인한다고 파악하여 인간교육, 특히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청소년의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정웅근 외 1인, 1992), 이러한 개혁 운동이 어느 한 국가에서만이 아니라 전 세계에서 전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쿠베르탱에게 있어서 올림픽 운동(Olympic Movement)은 사회개혁 운동으로 그것은 전 세계에서 동시에 일어나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범세계적 운동이었다.

참고문헌
고광현. 1988. 스포츠와 정치. 푸른나무
김석환․정여천. 2004. 현대 러시아 정치경제의 이해. 대외경제연구원
김운용. 1990. 위대한 올림픽. 동아출판사
서진영. 2006. 21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치지형과 전략. 오름
외교통상부. 2008. 외교백서. 외교통상부
우평균. 2008. 푸틴시대 러시아정치외교와 극동개발. 한국학술정보
윤강로. 2006. 총성없는 전쟁. 스포츠파트너스
윤득헌. 2009. 올림픽의 정치. 레인보우북스
이태영. 2008. 올림픽을 말한다. 서울특별시체육회
장주호. 2005. 올림피즘의 교육학. 한국올림픽아카데미
정은숙. 2004. 러시아 외교안보정책의 이해 : 고르바쵸프에서 푸틴까지. 세종연구소
정한구. 2004. 러시아와 미국 :푸틴 대통령의 대국주의 - 실용주의와 러시아 대외정책의 진로. 세종연구소
정성태․김창규. 1984. 올림픽의 사회학. 중앙일보사
Mesvedev, Roy. 2003. Vladimir Putin four years inKremlin. 정현미 옮김. 2005. 한국, 푸틴의 리더십을 배우다 : 위기를 돌파하는 파워 리더십. 굿뉴스



하고 싶은 말
올림픽 정치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올림픽, 올림픽의 정치화, 푸틴, 올림픽 운동, 올림픽의 이상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