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젠더 연구와 영화의 발달 2. 영화 속의 섹슈얼리티 1) 마요네즈 2) 바람난 가족 3)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3.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1. 젠더 영화의 발달 여성과 남성의 역할을 담고 있는 영화는 예전부터 나타났다. 우리 나라는 가부장적인 시대에서 남성의 폭력성과 억압성을 담고 있는 영화들이 나왔다. 임권택 감독의 영화 「씨받이」(강수연 주연,1987년 作) 는 영화는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남성 지배주의 아래 여성 인권이 아예 무시당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 영화이다. 예전 양반가에서는 아이를 낳지 못하는 가문을 위해 대代를 이어줄 사람을 필요로 했는데, 그것이 씨받이 이다. 일단 16살 나이에 씨받이가 되면 등에 낙인도 찍혀야 하고 부인이 보는 앞에서 하룻밤을 치러야 한다. 어린 나이에 너무 치욕스럽고 여성의 삶 자체가 도려내져 있는 것 같다. 영화는 배경을 조선시대에 맞추어 이런 지배문화를 당연시하게 보여주고 이런 억압받는 여성성을 한 恨 의 정서로 바꾸어 표현한다. 유린당하는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고발하는 듯 하지만 오히려 출산 의 의미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여성, 그리고 이렇게 순종적이어야만 하는 여성의 삶, 그러나 이런 삶이 우리 전통의 한국적인 한으로 표현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에 반해 할리우드 영화는 80년대 세계 영화 산업의 중심으로 자리 잡아가며 여러 가지 이데올로기의 혼합과 상품화의 정점을 보여준다. <인디아나 존스> 에서는 백인 이데올로기를 보여주고 로보캅에서는 폭력적이고 자극적인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영화를 상품화 시킨다. 여성의 성 상품화 도 활발히 이루어진다. 터프하고 멋진 미션을 완수한 영웅들 옆에는 늘 늘씬하고 예쁜 백인 여자들이 따른다. 그리고 영웅은 여자를 얻은 것처럼 표현한다. 그러나 점점 큰 시장이 되어가고 있는 할리우드에는 페미니즘의 바람도 불기 시작한다. 참고문헌 김동중․김종헌․정찬종, 섹슈얼리티로 이미지 읽기, 인간사랑, 2000 유진월, 정신문화연구 제34권 제3호-여성의 섹슈얼리티와 주제 정유성, 따로와 끼리-남성지배문화 벗기기, 책세상 , 2001 크리스티나 폰 브라운, 『젠더연구-성평등을 위한 비판적 학문, 나남출판, 2002 영화 마요네즈, 1999, 감독 윤인호, 김혜자, 최진실 주연 영화 바람난 가족, 2003, 감독 임상수, 문소리, 황정민, 윤여정 주연 영화 김복남 살인 사건의 전말, 2010, 감독 장철수 , 서영희 주연 하고 싶은 말 영화 속 현대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영화속 현대여성, 섹슈얼리티, 마요네즈, 페미니즘, 바람난가족 |
2016년 8월 31일 수요일
영화 속 현대 여성의 섹슈얼리티
영화 속 현대 여성의 섹슈얼리티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