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토론주제의 선정이유 및 근거 【2】토론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 1. 주 5일제 수업 도입 배경 및 추진경과 2. 주 5일제 실시에 따른 토요프로그램 현황 3. 주5일제 시행 외국사례 【3】 토론 과정 정리 <쟁점1. 사교육조장 및 평일 수업 부담 증가> 1. 찬성 측 의견 2. 반대 측 의견 <쟁점2. 체험활동 및 방과 후 학교> 1. 찬성 측 의견 2. 반대 측 의견 【4】종합의견(결론) 본문 【1】토론주제의 선정이유 및 근거 주5일제 수업 은 학생이 여유를 가지고 각자의 적성과 소질을 살리면서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학교의 수업 일을 주당 6일에서 5일로 축소하여 실시하는 학교 운영을 말한다. 이는 학습의 장을 학교에서 가정과 지역사회로 확대하고 학교-가정-지역사회 연계의 교육공동체를 구축하여, 학교에서 실시하기 어려운 문화, 예술, 스포츠 활동을 비롯한 사회 자연 체험 등 다양한 활동의 기회를 휴일을 통해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이로써 스스로 배우고 스스로 생각하는 힘,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바른 품성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미래인재를 육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효과와 달리 우려하는 의견도 많다. 주5일제 수업이 학생들에게 여가를 제공하고 자기성찰의 시간을 제공하기 보다는 입시경쟁과정에서의 과도한 사교육이 증가 된다는 것이다. 또한 맞벌이 부부의 자녀의 경우 학교의 생활지도 공백이 커져 청소년문제, 청소년 비행이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으며, 주5일제가 바람직한 것일지라도 모든 학교가 휴업을 할 경우에 이용 가능한 사회적 인프라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주5일제 수업 의 기대효과와 우려의 목소리는 끊임없이 논쟁 되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시행된 주5일제, 과연 이대로 괜찮은 것인지 우리 조에서는 주5일제 이대로 괜찮은가 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주5일제 수업을 폐지하자 에 대하여 찬성의견과 반대의견으로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였다. 【2】토론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 1. 주 5일제 수업 도입 배경 및 추진경과 주5일제 수업 실시에 관한 논의는 2000년 교총이 교과부와 주5일제 수업과 관련, 교과부에 교원의 수업연구 등 전문성 신장과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경험 기회 확대 등을 위해 단계적으로 적용방안을 추진하기로 한 합의로부터 시작되었다. 키워드 일제, 주, 주일제, 학교, 주일, 시간 |
2016년 8월 28일 일요일
주5일제 수업 폐지에 대한 찬반 토론
주5일제 수업 폐지에 대한 찬반 토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