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상담이론 Parsons의 특성-요인이론의 진로상담에의 적용(특성-요인 진로상담의 진단과 과정 및 기법)
[진로상담이론] Parsons의 특성-요인이론의 진로상담에의 적용(특성-요인 진로상담의 진단과 과정 및 기법).hwp |
|
목차 1. 특성-요인 진로상담의 진단
2. 특성-요인 진로상담의 과정
3. 특성-요인 진로상담의 기법 (1) 면담기법 (2) 검사의 해석 (3) 직업정보
참고문헌
본문 1. 특성-요인 진로상담의 진단
특성-요인 진로상담의 기본은 변별진단(differential diagnosis)이다. Williamson(1939)은 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진단이란 일련의 관련이 있거나 관련이 없는 사실들로부터 일관된 형식이 갖는 의미를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내담자의 미래에 대한 방향설정과 적응을 위하여 이와 같은 일관된 형식이 갖는 의미를 판단하고 예측해 주며, 내담자의 장점과 경향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진로의사결정에 나타나는 여러 문제를 진단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Williamson(1939)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범주를 제시하였다.
① 진로무선택: 공식적인 교육과 훈련을 끝마친 후에 어떤 직업을 갖고 싶으냐고 물었을 때,내담자는 자신의 선택의사를 표현할 수 없고 또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조차 모른다고 대답한다. ② 불확실한 선택 : 내담자는 직업을 선택했고또 그것을 직업명칭으로 말할 수도 있지만,자신의 결정에 대하여 의심을 나타낸다. ③ 현명하지 못한 선택: 한편으로는 내담자의 능력과 흥미 간의 불일치,또 한편으로는 내담자의 능력과 직업이 요구하는 것들 간의 불일치로 정의되며,이 범주는 이러한 변인들의 가능한 모든 결합들을 포함한다. 그렇지만 현명하지 못한 선택은 내담자가 충분한 적성(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직업을 결정함을 의미한다. ④ 흥미와 적성 간의 모순: 흥미를 느끼는 직업이 있으나 그 직업을 가질 능력이 부족한 경우,적성이 있는 직업에는 흥미가 적고 흥미가 있는 직업에는 적성이 낮은 경우 등이 여기에 속한다.
참고문헌 이재창, 조붕환 외 저,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14 김경미 저, 상담이론으로 지도하는 진로교육, 한국학술정보 2008 이현림, 송병국 외 저,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2013 김봉환, 강은희 외 저, 진로상담, 학지사 2013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