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제행동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번주와 접근방향 및 대안교육 - 대안교육의 이념과 의미, 대안학교의 유형, 대안교육의 기본 가정, 법적 지위, 대안교육의 과제
[청소년 문제행동]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번주와 접근방향 및 대안교육 - 대안교육의 이념과 의미, 대안학교의 유형, 대안교육의 기본 가정, 법적 지위, 대안교육의 과제.hwp |
|
목차 1.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범주와 접근방향
2. 대안교육 (1) 대안교육의 이념과 의미 (2) 대안학교의 유형 A. 교육이념이나 교육 프로그램에 의한 분류 B. 교육주체에 의한 분류 C. 제도교육을 중심으로 한 분류 (3) 대안교육의 기본 가정 (4) 법적 지위 (5) 대안교육의 과제
참고문헌
본문 1.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범주와 접근방향
가끔 우리는 한국의 청소년이 서양의 청소년들보다 학교에 잘 다니고 있고,덜 폭력적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만난다. 학교에 대한 문제제기를 학교 망신시키는 행동이라고 하면서 여전히 고답적인 자세를 버리지 못하는 학교지도자도 있다. 청소년 문제가 너무나 심각하고 해결책이 없으니까 그냥 덮어두자고 말하는 전문가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은 모두 청소년 문제행동의 일면만을 보고 전체를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성인들이 규정하는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은 그것이 그들의 발달적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행동인 경우도 있고,사회 문화적 요인에 의해 극단적인 비행으로 발전한 부적응적 행동도 있다. 우리는 자칫 극단적인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고 차단시키려다가 정상적인 발달적 행동 즉,모험적이고 창의적인 행동마저 위협하고 억압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청소년들의 성장과 발달을 오히려 방해하는 결과를 낳게 됨으로써 청소년들과의 갈등을 조장함은 물론이고 청소년지도의 본질을 왜곡하는 모순을 범하게 된다. 오늘날처럼 학교 실패,교실 붕괴, 학교 이탈 등의 말이 점차 그 강도를 더해 가고 있는 우리 나라의 학교 현실에서 많은 사람들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이 적응 청소년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쉽게 판단해 버린다. 그래서 학교는 소수의 모범생 집단과 다수의 부적응아 집단으로 양극화되어 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학업성취를 통한 상급 학교로의 진학을 중시하는 입시중심의 교육현실에서 성적이 우수한 소수의 학생들만이 적응을 잘 하는 축에 끼고,나머지는 학교 면학 분위기를 해치고 학교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가시적 부적응 청소년이거나 잊혀진 다수로 정지된 기간을 살아가는 잠재적 부적응 청소년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가시적이든 잠재적이든 부적응자로 분류된 청소년 가운데 상당수는 사실 부적응자가 아니라 부적응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자이며, 바꾸어 표현하면 생산적인 적응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자들이다. 따라서 실제 학교 부적응자는 사회적 현상을 놓고 얼핏 판단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참고문헌 정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 학지사 2015 모경환, 이미리 외 저, 청소년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14 정규석, 김영미 외 저, 청소년복지의 이해, 학지사 2013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