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 가출의 원인(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과 유형(청소년 가출의 설명모형과 청소년 가출 유형)
[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 가출의 원인(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과 유형(청소년 가출의 설명모형과 청소년 가출 유형).hwp |
|
목차 1. 청소년 가출의 원인 (1) 개인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2. 청소년 가출의 설명모형
3. 청소년 가출의 유형
참고문헌
본문 1. 청소년 가출의 원인
(1) 개인적 요인 청소년 가출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가출 사건의 다양한 동기와 이유를 밝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용교(1993)는 청소년 가출의 원인을 정신병리학적 이론,맥락주의적 이론 그리고 가출 유형학으로 설명하고 있다. 한편,현은민(2000)은 개인적 요인과 가족 환경적 요인으로,정혜경권혜진(2001)은 개인관련요인과 가정관련요인 그리고 사회환경 관련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Rice(1999)는 정신병리적 원인과 환경적 원인을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청소년 가출의 원인을 크게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고,개인적 요인에 정신병리적 원인을 포함하고,환경적 요인에 가정 관련요인을 포함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가출의 원인을 개인에게서 찾으려는 시도는 가출의 일차적인 책임을 청소년 개인에게 두는 것으로써 이러한 접근은 가출의 원인을 성격 및 정신병리적 측면, 생리적 측면,상황적 측면,자아 관련측면, 그리고 인지적 측면에서 찾으려는 것이다. 나철(1992)은 가출 청소년의 경우 뇌기능 저하에 의해 충동조절능력이 현저히 낮다고 하였다. 일반인이라면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사소한 충동도 이겨내지 못하고 쉽게 가출행동을 선택하는데,이 때 주요 매개변인이 성격이다. 한편 Reilly(1977)는 가출 소녀들은 일반 소녀들보다 공격적이고,화를 잘 내며,충동적이고,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쉽게 흥분한다고 하였다. 또한 가정을 이탈하는 청소년들은 유약성, 충동성,경조성, 우울성, 편집성,괴리성 등의 성격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정혜경 . 권혜진,2001). 김향초(1998)는 가출 청소년을 분석한 결과 자아 존중감이 낮고,가정과 학교에서의 반복된 좌절로 인하여 규범성이 낮으며, 직업에 대한 열망이 부족하고, 불안이 높고, 방어적이며,지나치게 충동적이고 통제력이 약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Shellow(1967) 는 가출자의 경우 심한불안을 보인다고 주장하고,가출을 통상적인 가족 갈등이나 경제 상황에서 비롯되는 상황적 압력에의 적응적 반응이라고 해석하였다. 이것은 가출자들이 갈등 장면이나 압력 장면에 합리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며,인지적 왜곡 또는 비합리적 갈등협상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정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 학지사 2015 모경환, 이미리 외 저, 청소년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14 정규석, 김영미 외 저, 청소년복지의 이해, 학지사 2013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