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 자살행동에 대한 이해 및 청소년 자살의 예방(위기개입서비스, 자살 예방교육 프로그램, 자살도구의 제한, 자살 예방을 위한 부모의 역할)
[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 자살행동에 대한 이해 및 청소년 자살의 예방(위기개입서비스, 자살 예방교육 프로그램, 자살도구의 제한, 자살 예방을 위한 부모의 역할).hwp |
|
목차 1. 청소년 자살행동에 대한 이해
2. 청소년 자살의 예방 1) 위기개입서비스 2) 자살 예방교육 프로그램 3) 자살도구의 제한 4) 자살 예방을 위한 부모의 역할
참고문헌
본문 1. 청소년 자살행동에 대한 이해
일반적으로 아동기를 지나 청소년기가 되면 다양한 문제행동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terson, 1988).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청소년기의 문제행동은 청소년 자신의 건강한 신체, 심리 및 행동 발달에 장애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타인 및 사회에도 해를 주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의 문제행동 중 특히 자살은 다른 어떠한 문제행동보다 그 심각성과 부정적인 결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다른 문제행동은 문제가 발생하고 난 이후에 그에 대한 처치 노력을 통해 어느 정도 개선의 기회가 있지만, 자살의 경우(자살행동이 반드시 죽음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는 이러한 기회마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청소년의 자살이 1990년대 이후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연보’ 에 의하면,1999년 총 자살자 수는 7,075명이었으며,그 중에서 15세에서 24세까지의 청소년 자살자 수는 총 802명인 것으로 집계되어(문화관광부,2001), 인구비율로 볼 때 우리나라 종 자살자 중에서 청소년 자살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 중 자살로 인한 사망이 9위 또는 10위를 차지하는 데 반해, 10-14세의 사망원인으로 자살은 3위, 15-19세의 경우는 2위, 20-24세의 경우는 2위를 차지하고 있어, 젊은층의 자살률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당히 높으며, 자살이 청소년들에게서 대표적인 사망 원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문화관광부, 2001). 그렇지만 이러한 자살률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는 실제로 일어나는 자살사건의 많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일반 사고로 위장된 자살 사건이나 사망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사건은 대개 자살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자살을 시도했지만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자살시도율은 공식적으로 자살률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실제로 청소년들의 자살행동은 더욱 빈번하고 심각할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Kleck, 1988).
참고문헌 정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 학지사 2015 모경환, 이미리 외 저, 청소년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14 정규석, 김영미 외 저, 청소년복지의 이해, 학지사 2013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