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상담이론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개관과 이론적 배경 및 기본 구인(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목표, 개인변인과 환경변인)
[진로상담이론]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개관과 이론적 배경 및 기본 구인(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목표, 개인변인과 환경변인).hwp |
|
목차 1.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개관
2. 이론적 배경
3. 사회인지진로이론 기본 구인 1) 자기효능감 2) 결과기대 3) 목표 4) 개인변인과 환경변인
참고문헌
본문 1.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개관
사회인지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은 1980년대를 전후하여 Bandura(1986)의 사회인지이론을 바탕으로 Hackett와 Betz(1986)가 여성의 진로발달 및 선택을 설명하려는 시도에서 태동되었다. 이들은 여성들이 진로대안을 넓게 설정하지 못하는 이유에 관심을 가졌고 이렇게 진로대안 영역이 제한되는 과정에서 Bandura가 제안한 자기효능감의 역할에 대해 주목하였다. 전통적인 진로발달 및 진로결정과 관련된 이론들은 개인의 진로선택이 주로 개인의 타고난 성향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Hackett 등은 진로선택이 이 변인들 간의 단순한 조합의 결과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자기효능감이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진로발달과 선택에서 진로와 관련된 자신에 대한 평가와 믿음이라는 인지적 측면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 이론은 처음에는 여성의 진로발달과 선택과 관련하여 Bandura가 제안한 자기효능감이란 개념을 적용하는 것에서 시작되었지만(Betz & Heckett, 1981; Heckett & Betz, 1981) 이후 남성과 여성 모두를 대상으로 개인 특성과 환경변인 등을 아우르며 개인의 흥미, 선택,실행 등 진로발달과 선택의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확장되어 1990년대 중반에서야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다(Lent, Brown, & Hackett, 1994). 이 이론의 주도자들은 전통적인 진로발달 및 선택 이론들과 이 이론들이 제안한 개념들을 통합하는 것이 과학적,실증적으로 유익하다는 것을 인지하였기 때문이다. 이들은 개인 특성과 환경변인 등의 선행변인들과 진로결정 및 만족과 같은 결과변인들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Hackett & Lent, 1992). 이 과정에서 이들은 또 다른 인지적 측면의 변인으로 결과기대와 개인적 목표(Bandura, 1986)라는 개념을 도입하였으며,SCCT는 이 두 변인이 자기효능감과 함께 상호작용하여 개인이 스스로 진로관련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게 한다고 제안한다.
참고문헌 이재창, 조붕환 외 저,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14 김경미 저, 상담이론으로 지도하는 진로교육, 한국학술정보 2008 이현림, 송병국 외 저,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2013 김봉환, 강은희 외 저, 진로상담, 학지사 2013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