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상담이론 진로의사결정이론의 개관 - 진로의사결정의 개념, 진로의사결정수준 이론(진로결정척도, 직업결정척도, 진로미결정척도), 진로의사결정유형 이론
[진로상담이론] 진로의사결정이론의 개관 - 진로의사결정의 개념, 진로의사결정수준 이론(진로결정척도, 직업결정척도, 진로미결정척도), 진로의사결정유형 이론.hwp |
|
목차
1. 진로의사결정의 개념
2. 진로의사결정수준 이론 (1) 진로결정척도 (2) 직업결정척도 (3) 진로미결정척도
3. 진로의사결정유형 이론
참고문헌
본문 진로의사결정 이론이란 개인의 진로결정 과정과 방법,그리고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을 말한다. 진로의사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상담연구는 개인이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결정을 내리기 위해 따라야 하는 과정은 무엇이고,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이며,진로결정의 어려움을 지닌 개인을 돕는 데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가와 같은 주제를 다루어 왔다(고향자,1993). Chartrand와 Camp(1991)는 약 20년간의 진로발달 관련 문헌을 고찰하면서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연구의 경향을 크게 세 가지로 언급하였다. 첫 번째 연구동향은 고전적 의사결정이론에 기초한 의사결정 모형에 관한 연구들(Janis & Mann, 1977; Vroom, 1964)이고,둘째는 일련의 발달적 관점에서 진로의사결정올 기술하는 발달적 접근(Gelatt, 1962; Harren, 1979;Jepsen & Dilley, 1974; Mitchell & Krumboltz, 1984)이며,세 번째 연구동향은 진로의사결정에서의 개인차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Holland & Holland, 1977; Johnson, 1978; Salomone, 1982)다.
1. 진로의사결정의 개념
일반적으로 진로의사결정(career decision making)이란 개인이 정보를 조직하고,여러 가지 대안들을 신중하게 검토하여,진로선택을 위한 행동과정에 전념하는 심리적인 과정(Harren, 1979)”으로 정의된다. 진로의사결정은 진로상담과 진로지도의 최종적인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에 진로상담에 있어서는 매우 핵심적인 개념으로자리 잡고 있다(김봉환,정철영,김병석,2006). 진로의사결정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진로선택(career choice)’이라는 개념이 있다. 일반적으로 진로의사결정이 과정에 초점을 두는 개념이라면,진로선택은 결과에 초점을 두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재창, 조붕환 외 저,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14 김경미 저, 상담이론으로 지도하는 진로교육, 한국학술정보 2008 이현림, 송병국 외 저,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2013 김봉환, 강은희 외 저, 진로상담, 학지사 2013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