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4월 21일 화요일

다양한 가정문제와 해결방안(빈곤가정, 이혼가정, 노인가정, 다문화가정)

다양한 가정문제와 해결방안(빈곤가정, 이혼가정, 노인가정, 다문화가정)
다양한 가정문제와 해결방안(빈곤가정, 이혼가정, 노인가정, 다문화가정).hwp


목차
Ⅰ. 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 가정문제의 종류
1. 빈곤가정
2. 이혼가정(한 부모가정)
3. 노인 가정
1). 노인 단독 가정
2). 치매노인 가정
4. 다문화가정

Ⅳ. 가정문제 현황 및 문제점
1. 빈곤가정 현황
2. 빈곤가정 문제점
3. 이혼가정 문제점
4. 노인 가정
1). 노인 단독가정의 현황
2). 노인 단독가정의 문제점
3). 치매노인 가정의 현황
4). 치매노인 가정의 문제점
5. 다문화가정의 현황
6.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Ⅴ. 가정문제의 사회복지 대책
1. 빈곤가정 대책
2. 이혼가정 대책
3. 노인 가정 대책
4. 다문화가정의 대책

Ⅵ. 결론

참고 문헌


본문
1.노인 단독가족
(1)경제적 안정 지원 서비스
노인 단독가족의 경제적 안정은 단독가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조건이다. 특히 생활에 필요한 소득의 확보는 경제적 안정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 단독가족의 소득보장이 우선 고려 되어야한다. 노인을 대상으로 보편적 성격을 띠는 소득지원 제도로 경로연금이 있으나 이 제도 역시 저소득층의 중고령 노인을 우선 대상으로 하며 급여수준이 매우 낮기 때문에, 소득지원으로서의 취지는 미약하다. 이런 점에서 전체 노인 특히 단독가족을 이루고 있는 노인 인구층의 경제적 안정을 위한 국가 책임에 입각한 보호 방안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중 략>

빈곤가정은 첫째, 질명, 장애, 노령 등의 이유로 노동능력이 없는 가난한 자. 둘째, 근로능력이 있는 가난한 자로서 자활보호대상 가구. 셋째, 물의의 사고나 사업 실패, 실직 등으로 빈곤에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가난한 자로 나눌 수 있다.
빈곤인구를 표현하는 다른 용어로는 소득주고에서 하위를 차지하는 계층인 저소득층가구와 영세민가족, 사회구조적 산물로서 도시빈민의 성격을 강조하는 빈민(빈곤)가족, 생활보호법의 규정에 따라 부양 의무자가 없거나 있어도 부양할 능력이 없는 생활보호대상자가족이 있다.

<중 략>

백인 다문화 가정의 경우, 아동들이 학교에 갔을 때 외국어를 잘 할 거라고 생각하고 계속해서 주변의 친구들이 영어를 시켜보는 때에 상처를 입는다고 한다. 이와 반대로 아시아 국가나 흑인 다문화 가정의 경우, 우리보다 못사는 나라라는 인식이 강해 상처를 입는다고 한다. 이렇듯 각기 다른 나라만큼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한국에서는 외국인 취급을 받고, 한국 이외의 고향에 돌아가서는 한국인으로 취급받게 되어 가치관에 큰 혼란을 겪게 된다. 또한 청소년기 때 겪은 상처로 인해 한국이라는 나라 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사라져 사회에서 부적응자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참고문헌
이소의 외3인, 가족문제와 가족복지, 대왕사, 2014년
한국여성복지연구회 저, 가족복지론, 청목 출판사, 2014년
정 은,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2년,
조흥식 외 4명, 가족복지학, 학지사, 2010년
최경석 외 5명, 한국 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11년,
노인가정 다문화가정


하고 싶은 말
여러번 자료 보충하고 수정하여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