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기 위험행동의 관련 요인 - 관련 변인들간의 상호 관련성, 위험요인(개인 내적 요인, 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 보호적 요인
[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기 위험행동의 관련 요인 - 관련 변인들간의 상호 관련성, 위험요인(개인 내적 요인, 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 보호적 요인.hwp |
|
목차
1. 관련 변인들간의 상호 관련성
2. 위험요인 (1) 개인 내적 요인 (2) 사회 • 환경적 요인
3. 보호적 요인 (1) 부모의 감시와 통제 (2) 또래의 행동 (3) 보호 성인 (4) 부모-청소년 간의 의사소통 (5) 청소년들의 학교환경 (6) 기타
참고문헌
본문 1. 관련 변인들간의 상호 관련성
위험행동의 부정적 결과는 심리적 부적응과 정신건강의 악화, 신체 건강의 상실, 학교 성적의 저하,사회적 일탈행동 등으로 나타난다. 개인의 부적응 및 부정적 행동결과와 관련된 변인들에 대해 Voydanoff와 Donnelly(1999)는 이를 위험 요인(risk factor)과 보호 요인(protective factor)으로크게 양분하여 설명하고 있고, Steinhausen과 Winkler(2001)는 이 외 에 보상 요인(compensatory factor)과 취 약성 요인(vulnerability factor)을 추가로 포함시키고 있다. 이 가운데위험 요인과보상요인은위험행동의 부정적결과에 대해 주 효과를 갖는 변인으로,부적응 또는 정신적 장애를 직접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요인들이다. 대표적인 위험요인으로 회피행동, 부모의 거부적 행동,또래들의 부정적 압력,교사의 통제 등을 들 수 있는데,이들 요인들은 스트레스 인자와 관계없이 개인의 부적응 행동을 증가시킨다. 한편. 보상 요인은 위험요인이나 스트레스 인자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부적응 행동 및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변인으로,자기 존중감,부모에 의한 수용성, 또래 수용성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결과적으로,위험요인은 정신적 또는 사회적 문제행동을 증가시키는 반면,보상요인은 위험요인과 독자적으로 위험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취약성 요인과 보호적 요인은 위험행동의 부정적 결과에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부적응 행동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즉 변량분석(ANOVA) 모형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일으키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Steinhausen과 Winkler(2001)에 따르면,취약성 요인의 경우 높은 스트레스 상태에서 위험행동을 증가시키는 반면 낮은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위험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컨대,남자 청소년들에게 주로 영향을 주는 수행 스트레스가 대표적인 취약성 요인에 속한다. 보호적 요인은 이와 반대로 높은 스트레스 상태의 개인에게는 위험행동을 감소시켜 주지만,낮은 스트레스 상태의 개인에게는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말하는데, 적극적 대처와 또래 수용성이 대표적인 요인이다. 일반적으로,취약성 요인은 부적응과 정신병리를 촉진시키는 장기적 또는 지속적인 조건이나 생활환경으로 간주되며,보호적 요인은 부적절한 환경 및 조건에서조차 개인의 위험행동을 감소시켜 주는 중재변인으로 간주된다. 그림 1은 위험행동과 관련된 네 가지 변인들 각각을 보다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문헌 정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 학지사 2015 모경환, 이미리 외 저, 청소년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14 정규석, 김영미 외 저, 청소년복지의 이해, 학지사 2013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