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기 위험행동의 이해 모형 - 상호작용 모형, 발달적 모형
[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기 위험행동의 이해 모형 - 상호작용 모형, 발달적 모형.hwp |
|
목차 1. 상호작용 모형 2. 발달적 모형
참고문헌
본문 1. 상호작용 모형
Irwin과 Millstein(1986)은 위험행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생물학적,심리학적,사회학적 이론에 기초한 상호작용적 모형을 제안하였다(그림 1 참조). 이 모형에 의하면,위험행동은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 및 상황적 요인의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된다. 그리고 이들 각각은 또 다시 위험행동의 원인 요인과 보호 요인으로 구분되는데,위험요인들에 의해 위험행동이 유발될 수도 있지만 또한 보호요인에 의해 위험행동이 예방 또는 감소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내적 요인에는 위험행동의 생물학적 원인과 심리학적 원인 및 이와 대립되는 보호적 요인이 있다. 연구자들이 제안한 위험행동의 원인에는 유전적 소인,남자,호르몬, 감각추구성향,인지 미성숙,우울증,낮은 자존심,독립 추구성향, 발달의 부조화 등이 포함되며,보호요인에는 정상적인 정동상태,자존심,성취에 대한 높은 가치, 인지적 성숙,종교성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외적 요인에 포함되는 위험요인은 또래의 위험행동 수용,부모감시 및 통제 소홀,학교 실패,가난,부모의 위험행동 개입 등이 있으며,보호적 요인은 학업적 성취,건전한 가족,부모의 지지, 또래의 위험행동 부정,교회 참석, 학교활동 참여,권위적인 양육 등이 있다. 한편 위험행동이 유발되는 상황요인으로 또래의 위험행동 시작,사회적 압력,학교전학,가족 해체,성적 행동시작,약물사용 등을 포함시키고 있다. Irwin과 Millstein(1986)이 제안한 상호작용적 모형은 청소년 위험행동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러나 내적 • 외적 소인이 상황적 요인과 결합함으로써 위험행동이 발생하게 되는 과정을 잘 설명해 주고 있지만, 보호적 요인의 작용에 대해서는 명확한 설명을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참고문헌 정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 학지사 2015 모경환, 이미리 외 저, 청소년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14 정규석, 김영미 외 저, 청소년복지의 이해, 학지사 2013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