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24일 일요일

환경관리와 윤리경영 -삼성, LG전자

환경관리와 윤리경영 -삼성, LG전자
환경관리와 윤리경영 -삼성, LG전자.hwp


목차
▷서론◁
EU 환경지침

대상제품

의무이행주체

WEEE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CE마크

국내 환경규제 수단

1. 환경계획

2. 환경기준

3. 환경영향평가

4. Command-and-Control에 의한 배출규제

5. 배출부과금

환경친화기업 지정제도

1. 목적 및 배경

2. 제도의 연혁

3. 제도의 운영 관리

4. 참여신청

5. 문제점

▷본론◁

<LG전자>
▷결론◁


본문

한편 삼성전자는 제품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은 물론 제품의 생산 및 폐기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해 '제품 내 환경관리물질 운영규칙'을 제정하였다. 이 규칙은 2005년 2월부터 삼성전자의 모든 글로벌 생산현장에 확대 적용하였으며 현재 모든 제품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대체하기 위한 개선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관리물질 운영규칙에 의해 관리되는 물질은 총 20종으로 RoHS 6대 금지물질과 EU지침 76/769/EC 및 각 개별 국가법안에 의해 규제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 규칙은 제품 내 부품/원자재/포장재/배터리 등에 함유된 환경관리물질을 파악하여 해당물질을 사용금지 및 제한하도록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내부적인 관리 이외에도 에코파트너 인증제도와 연계하여 삼성전자로 공급되는 협력회사의 부품 등에도 적용된다.
1995년부터 전 제품군에 대해 전 과정평가 및 DfX(Design for Assembly/ Recycling/ Service) 기법 등을 도입하여 주요 제품군에 대해 평가, 개선활동을 해왔던 삼성전자는 친환경제품개발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자 이에 제품개발활동 중에 환경품질을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활동을 이루기 위해 2004년도에 에코 디자인 평가체계를 구축했다.

*에코디자인 프로세스





키워드
환경, 삼성전자, 물질, 제품, 개선활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