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20일 수요일

장애인복지론 지체장애 원인 및 실태, 치료

장애인복지론 지체장애 원인 및 실태, 치료
[장애인복지론] 지체장애 원인 및 실태, 치료.pptx


목차
Ⅰ. 지체장애의 개념과 원인
Ⅱ. 지체장애의 판정
Ⅲ. 지체장애의 실태
Ⅳ. 지체장애의 치료와 재활
Ⅴ. 지체장애 이슈



본문
근육계 질환, 만성질환을 총칭하는 것

원인: 대게 유전적 요인, 원인불명/ 남자에게 나타남

무통증, 근육의 진행성 위축을 초래 힘이 떨어져서 차차 걷지 못하고 휠체어에 의지하게 되거나 자리에 눕게 됨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 호흡이나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사망


선천적 요인 절단 : 태아 시절 발육부전으로 발생

후천적 요인 절단 : 외상, 질병으로 인하여 수술적으로 절단한 경우

질병으로 인한 절단 : 동맥경화증, 버거스씨병, 당뇨병, 합병증 등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것

뼈나 근육에 생긴 암 및 만성 골수염 또는 심한 기형이 있는 경우에도 절단 수술이 시행


팔다리 변형을 막고, 관절 운동 회복, 회복된 근육 재활 치료하는 것 치료 목적

회복기 초기 과도한 활동은 근육의 힘을 되찾을 수 있는 것을 소실시킴


더운 찜질&관절 운동으로 관절이 굳는 것 예방, 마비된 근육 보호

변형이 진행되면 그 전의 상태로 회복하기는 쉽지가 않음으로 꾸준한 노력과 관심을 가지고 재활

근육의 재활 목적은, 살아 있는 신경의 능력을 키워 최대한 근육의 운동 능력을 얻고, 주위 근육과의 상호 협동작용


참고문헌
- 유태완 김성철 김용환 최금주 허영숙, "장애인복지론", 2010, 창지사
- 정무성 양희택 노승현, "장애인복지개론", 2006, 학현사
- 임종호 이영미 이은미, "장애인복지론", 2011, 학지사
- 통계청


키워드
지체장애, 장애, 장애인복지론, 지체, 인복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