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발달의 기초 2.발달과업과 교육 3.발달단계 4.발달이론 인지적 발달 정의적 발달 5.발달과 교육 본문 1896년 스위스 출생 어려서부터 과학에 깊은 관심을 가져 첫 번째 논문을 10세 때 출간하였으며, 21세에 박사학위를 받음 자신의 세 자녀가 성장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아동의 사고는 성인의 사고와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발견 레브 비고츠키 (1896~1934) 1896년 러시아 중산층 유태인 가정 출생 가정교사(Solomon Ashpiz)에게 개인교습을 받고 1917년에 모스크바 대학 졸업. 1924-34년 모스크바 심리학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인지발달 특히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해 연구 1934년 결핵으로 사망 리비도 전이 신경증 연구에서 성욕을 일컫는 말 넓은 의미로는 종의 보존을 목표로 하는 욕구이고, 좁은 의미로는 이성과 접촉하거나 성 물질을 방출하고자 하는 욕구 프로이트는 입술의 쾌감, 배설의 쾌감, 관음증, 노출증, 사디즘, 마조히즘을 포함시켰다. 자기 보존 본능과 함께 삶을 이끌어가는 에너지. 더 고차원적인 사회적 혹은 윤리적 만족으로 대체되기도 함 - 승화 참고문헌 김청자 외. 2006, 제2장 발달과 발달이론. (개정증보판)교육심리학, 서울:동문사 pp58~77 루스베리. 2003. 30분에 읽는 프로이트. 이근영 역. 서울:중앙 M&B pp161,162,166,167,422~427,467~473 프로이트. 2004. 정신분석 강의. 임홍빈 외 역. 서울:열린책들 pp68,69,120,121,96~105,108~112 SBS. 일요일이 좋다. 9회.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ttp://www.wikipedia.org/ SLR Club. 2008, 딸의 장난 2008.3.20 인용 이보연. 2006, 아동발달이론 2008. 3. 21 인용 산도. 2008. 에릭에릭슨의 발달단계 이론 2008. 3. 22 인용 박하사탕. 2004. Erikson의 심리사회학적 발달이론 2008. 3. 22 인용 하치코. 2007. Piaget-인지발달단계 2008.3.20 인용 키워드 발달이론, 발달, 교육심리, 제장, 이론 |
2017년 9월 21일 목요일
교육심리 제2장. 발달과 발달이론
교육심리 제2장. 발달과 발달이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