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20일 수요일

러시아 정치사

러시아 정치사
러시아 정치사.pptx


목차
1.소비에트 연방의 지도자들

2.고르바쵸프와 옐친 그리고 쿠데타

3.러시아의 시장경제 체제 유입

4.푸틴과 메드베데프 그리고 현재의 러시아



본문
러시아 급진 볼셰비키파의 핵심인물

10월 혁명의 주역이자 소비에트 연방 최초의 지도자

마르크스 주의에 입각한 공산민주국가 추구


공산당 전위대의 노,농 계몽을 통한
엘리트 주의적 공산화 추구



일국주의-러시아의 우선적인 공산국가 설립 지향

급격한 중공업 성장

농촌의 완전한 국유화가 이루어 졌으며 농촌 피폐화

교조주의를 통한 자신의 신격화

희대의 학살자 vs 러시아를 강국으로 만든 영웅



엘리트 관료주의는 수많은 국영기업의 부패와 사회고착의 원인이 됨

서방세계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 듯 했으나 아프간 사태에서 보이듯 공산주의에 반하는 움직임은 철저히 무력차단

리베르만 계획 역시 실패로 돌아가 경기는 더욱 침체되었고 소비에트 연방은 점점 나락으로 빠져들어간다






일요일이던
1991 8월 18일 밤
공산당 보수 강경파들은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별장에서
휴가 중이던
고르바초프를
찾아가 별장에 감금.

보수파들의 탱크부대가
모스크바에 진입.

고르바쵸프의
핵미사일 발사 장치까지 빼앗기는 위기상황

옐친과 급진개혁파(가이다르 내각)는 급진개혁을 실현하는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

그러나 구체적인 경제.정치 개혁에 관한 완성된 프로그램이 없다는 것이 곧 드러났다.

"자유로운 시장경제만이 러시아의 살 길!" 이라고 믿음
1992.10.28 경제 개혁 계획 공포


법치주의 확립과 사회적 안정.

빈곤척결과 중산층의 성장기반 마련.

주택 의료 교육 등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

군현대화 구축을 통해 관료제도의 비능률 제거와 부패방지.

GDP는 4배, 외환보유액은 10배, 수출 3배, 주가지수는 12배 증가시킴.


키워드
러시아, 정치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