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I. 서 론 II. 아동복지관의 설립배경 III. 일본 아동관의 선행사례 IV. 아동복지관의 모형 V. 맺음말 본문 I. 서 론 1. 문제제기 우리나라의 급격한 근대적 산업사회의 성립과정은 가족구조와 기능에 커다란 변동을 초래하였으며 그 결과 다양한 아동문제들을 던져 주었다. 즉 아동인구의 감소1)와 함께 핵가족화, 여성의 취업증가, 이혼 및 편부모가족, 미혼모의 증가등의 사회현상은 가족해체에 의한 아동의 유기, 아동학대 및 아동의 인권침해, 사생아의 증가등의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시켰다. 이에 대한 복지적 접근으로서 많은 학자들은 아동 개인에 초점을 둔 사후치료적 복지대책이 아니라 가족기능을 강화하는 가족기반의 예방적 차원의 아동복지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Pecora et al, 1992; 조흥식, 1998; 윤혜미, 2000). 한 편 그동안의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주요대상은 요보호상태에 있는 불우아동으로서 수용시설보호가 주를 이뤄왔으며(김현용, 1997) 보호의 수준도 기초적이고 단순한 요육 제공으로서 가정 대체적 보호기능의 사후접근으로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전문적인 아동복지 사업으로서 유일한 이용시설의 형태로 존재하여 온 아동상담소의 경우, 전국에 16개 시ㆍ도 단위에 모두 38개 만이 운영되고 있어 아동과 그 가족의 문제에 대한상담, 치료, 예방 및 연구라는 상담소의 고유 기능을 달성하기에 절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보건복지부 2000). 이러한 기존의 아동복지서비스체계는 현대 가족기능적 취약성에 적극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요보호아동의 증가2)를 야기시켰으며 일반 아동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길호섭(1999), "어린이를 위한 우리나라 행정의 실태와 개선방향: 보건 복지부의 아동복지 및 보육행정을 중심으로", 도시문제, 5월호, 대한지방행정공제회, 52-61. 김득린(1999), "21세기 아동을 위한 민간기구의 새구도: 아동복지법 개정안을 통한 지역사회아동복지센타로의 확대, 발전을 중심으로", 21세기 한국 어린이와 민간단체, 한국아동단체협의회, 75-84. 김미혜(1998), "장애아동복지관련 법조항 신설을 위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7호, 한국아동복지학회. 김현용(1999), "보육원 수용아동과 사회적 책임", 1999년도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53-171. 노혜련 (1995),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서비스 확대: 아동부문", 한국적 복지모형의 정립과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7-286. 변용찬, 이상헌(1998), 아동복지 수용시설 실태조사 결과보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변용찬(2000), "아동복지시설의 구조적 변화 및 서비스 개선과제", 새천년의 아동복지, 아동복지시설연합회, 35-45. 성영혜(1999), "아동의 욕구변화와 서비스의 선진화", 21세기 한국 어린이와 민간단체, 한국아동단체협의회, 61-71. 손여경(2000), "아동복지관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혜령(1996), "가족중심의 아동복지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논문집, 19, 국립사회복지연수원, 117-153.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1997), 아동복지편람. 어윤배(1994), "아동복지시설의 구조적 변화", 제 19회 아동복지세미나 자료집, 한국아동복지시설연합회, 37-48. _____ (1996), "아동복지시설의 구조적 변화를 통한 지역사회아동복지센타 확대 방안", 제 11회 아동복지시설 총무세미나 기조강연, 한국아동복지시설연합회,11-21. 이태수(1999), "사회복지예산의 현황과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계간 사회복지, 142, 한국사회복지협의회, 7-23. 장인협, 오정수(2000), 아동청소년 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조흥식(1998), "아동권리와 가족지원", 한국아동복지학, 7, 한국아동복지학회, 9-33. 최영숙(1998), "지역사회 아동복지관 건립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9), "사회복지시설 운영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공청회", 보건복지포럼, 34, 50-53. Adrian W. & Gerald W. (1987), Social Work, Social Care and Social Planning: The Personal Social Services Since Seebohm, London: Longman. Hartman & Laird, (1983). Family-Centered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The Free Press. Pecora, P.J., Whittaker, J. K., Maluccio, A. N., Barth, R. P. and Plotnick, R. D. (1992). The Child Welfare Challenge: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NewYork: Aldine De Grayter. Rino J. P. (1983).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Managing Social Programs in a Developmental Context,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Inc. 하고 싶은 말 키워드 모형, 지관, 아동복지관, 사회, 아동복 |
2016년 12월 1일 목요일
사회복지시설운영론 아동복지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시설운영론 아동복지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