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1. 물가지수의 개념 물가(prices)란 가격(price)과는 다른 말이다. 가격은 개별상품 하나하나의 가치를 각각의 화폐로 나타낸 것인 반면, 물가는 여러 상품들의 가격을 평균해서 돈이 아닌 수치로 표시한 것인데, 이를 물가지수(price index)라고 한다. 물가변동의 주요 요인은 수요와 공급이다.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통화량,소득,소비성향 및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등이 대표적이고, 공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는 생산기술 및 설비투자,수출입 동향,자연조건 등이 있다. 물가지수에는 소비자물가지수, 도매물가지수, 수출입물가지수, GNP 디플레이터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그중에서 가계생활과 가장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역시 소비자물가지수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1936년에 경성상공회의소에서 10개 품목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서울시의 소매물가지수를 발표한 것이 처음이었으며, 1993년 이후부터는 통계청에서 이를 작성하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 시사경제론 윤영자, 심상진, 최덕천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시사경제론 학습보조자료 - 인터넷 뉴스 검색 하고 싶은 말 키워드 경제학개론, 물가지수, 개론, 물가, 경제학 |
2016년 12월 28일 수요일
경제학개론 -소비자 물가지수를 설명하시오
경제학개론 -소비자 물가지수를 설명하시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