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 직무만족의 개념과 영향요인 1) 개념 직무만족에 대한 개념은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1935년 산업심리학 분야에서 Hoppock가 연구를 실시하여 현재까지 많은 사람들에 의해 활발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McCormick에 의하면 직무만족이란 직무를 통해 얻거나 경험하는 욕구만족차원의 함수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자아충족의 감정과 성취감이 만족의 수준과 정도를 결정하고 있다고 전제한다면, 이는 조직구성원이 직무를 통해서 취하는 특정태도이면서 동시에 직무에 대한 감정적 반응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Smith는 직무만족을 각 개인이 직무와 관련하여 경험하는 모든 好惡感情의 總和 혹은 이러한 감정의 불균형상태에서 기인되는 하나의 태도라고 정의한다. Beatty에 의하면 직무만족은 구성원의 직무가치를 달성하고 촉진시키는 것으로 개인별로 직무평가에서 얻는 명쾌한 감정적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Osborn은 직무만족이란 직무과업, 과업조건, 동료관계 등 여러 측면에 대한 개인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느낌의 정도를 직무만족이라고 정의한다. Locke는 직무만족을 자신의 직무 또는 직무경험을 평가함으로써 얻게 되는 유쾌함이나 혹은 좋은 정신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2) 영향요인 참고문헌 <참고문헌> 조남흥. 직무만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석사학위논문. 한양대산업경 영디자인대학원,2009,pp. 04-15. 남호순. 국공립과 사립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남 대대학원,2001,pp. 14-15. 전용득. 공공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1998,pp. 07-46. 임창희. 조직행동. 비앤엠북스,2009,pp 154-155. 신철우외 3인 공저. 조직행동론. 문영사,2007,pp 244-245. 하고 싶은 말 키워드 직무만족, 조직행동론, 조직, 행동론, 만족 |
2016년 12월 30일 금요일
조직행동론 직무만족에 대해서
조직행동론 직무만족에 대해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