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Ⅰ. 들어가며 우리는왜 결혼 이주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가? Ⅱ. 개념 시민권이란? 영주권이란? Ⅲ. 배경(결혼 이주여성 When, Why?) Ⅳ. 현황(현재 한국의 결혼이주여성은?) 1.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 현황 2. 국제 결혼 현황 및 외국인 여성의 비율 3. 결혼이민자 국적 취득 현황 4. 시민권획득과 관련된 긍정적 사례 V.문제점 법적 사회적 정치적 VI. 나가면서 본문 Ⅰ. 들어가며 우리는왜 결혼 이주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가?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은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그들의 자녀(2세대)가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결혼이주여성이며다문화 사회의 시민권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기 때문에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발표하고자 한다. Ⅱ. 개념 시민권이란? 개인과 국가와의 관계에 관한 권리, 의무이다. 역사적으로 여러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시민권의 개념은 형식적인 의미에서나 본질적의 의미에서 정적인 것이 아니라 고대 그리스로부터 현재까지 계속해서 변해왔다.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에서의 시민권과 로마제국 시대의 시민권은 베재와 통합의 이분법적 시민권 개념으로 근대와 현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근데적 의미의 시민권은 산업사회에서의 개인, 가족, 사회집단 등에게 집합적 급여를 제공하는 민주주의적인 산업의 구성원자격을 규정하는 권리의 집합을 말한다. 그러나 오늘날에 있어서의 시민권의 개념은 집단이나 계층에 주어지는 집합적 개념이 아니라 개인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시민의 지위를 부여받은 개인과 정치공동체 사이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 젠더 시각에서 본 결혼 이주 여성의 협상하는 시민권 : 영주권 선택 사례를 중심으로, 2009, 이안지영, 성공회대학교 NGO 대학원 : 시민사회단체학과(비정부기구학) - 시민성 개념의 새로운 구축을 위하여 : 에티엔 발리바르의 '인권의 정치'의 문제 설정, 1996, 서관모, 서울 : 경제와 사회 -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Ⅰ) : 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과제, 2007, 김이선, 한국정책연구원 - 국제결혼중개업 건전화 방안 연구보고서, 2010, 김두년, 여성가족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포탈 '다누리' - 여성가족부 산하(http://liveinkorea.mogef.go.kr/) 통계청 (http://www.kostat.go.kr/) 관련기사 - 정치에 뛰어든 이민자들, 2009.02.11, 민동용기자, 동아일보 - 경남 진주 결혼이주여성 다문화 라디오 방송, 2011.05.25, 아르떼진 지역통신원 김인수기자, 대한민국 문화예술 주간 - 부산시, 결혼이주여성 공무원 첫 임용, 2011.04.22, 백승목기자, 경향신문 키워드 결혼이주, 다문화, 결혼, 이주, 시민권 |
2017년 8월 1일 화요일
다문화 사회의 다양한 시민권 -결혼이주 여성을 중심으로
다문화 사회의 다양한 시민권 -결혼이주 여성을 중심으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