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8월 28일 월요일

한국전통문화, 유아교육 자치기의 유래와 방법

한국전통문화, 유아교육 자치기의 유래와 방법
[한국전통문화, 유아교육] 자치기의 유래와 방법.pptx


목차
1.자치기의 유래와 명칭

2.자치기 용어

3. 놀이방법과 종류

4. 자치기 시연

5. 자치기와 비슷한 외국놀이

6. 자치기의 교육적 효과와 적용


본문
1) 유래

자치기는 그 유래와 시기가 정확하지 않다. 아주 오래 전부터 전국적으로 행해진 놀이라고 짐작된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자치기와 비슷한 유형의 놀이를 즐기고 있다. 《조선의 향토오락》에서는 경기도 개성과 고양, 용인, 안성 지방을 비롯해 대구, 경상남도 창녕, 황해도 연백, 강원도 춘천 등 전국 각지에서 행해졌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2) 명칭의 어원
'자'와 '치기'의 합성어, 자로 치는 놀이라는 뜻. 이때 '자'는 길이나 높이를 재는 자가 아니라 나무 막대기를 가지고 놀되 거리를 재어 점수를 삼는 기준으로 막대기를 자처럼 쓰기 때문에 '자치기'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조선의 향토오락》에서는 <척취尺取놀이>, <척타尺打놀이> 등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것을 보아 오늘날 어린이들 사이에 널이 불리어지고 있는 <자치기>라는 명칭이 1941년 당시에 이미 통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방에 따라 그 명칭이 다양하다.


참고문헌
리재선 , 『우리나라의 민속놀이』 , 한국문화사, 1997
김성배 , 『 한국의 민속』, 집문당, 1995
도유호 , 『 북한학자가 쓴 조선의 민족놀이 』, 푸른숲, 1999
이상호, 『전래 놀이 101가지』, 사계절출판사, 2011
강윤호, 『조선의 민속전통 민속놀이와 명절(하)』, 대산출판사 , 2000
서득창, 『조선의 민속놀이』, 민속원, 2001
『전통민속 뉴스포츠』, 국민생활체육협의회, 2002
『조선의 향토오락』, 조선총독부, 1941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main/main.asp
디지털진천문화대전 - http://jincheon.grandculture.net/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Daum 문화원형 백과사전 - 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main.asp


키워드
유아교육, 한국전통문화, 자치기, 유아, 교육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