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8월 28일 월요일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대학교 학교생활안전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대학교 학교생활안전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대학교 학교생활안전.hwp


목차
1. 서론
- 학교안전사고의 실태

2. 본론
1) 초등학교 생활안전
(1) 초등학교 생활안전의 특징 및 문제점
(2) 초등학교 생활안전 사례별 해결방안
(3) 초등학교 생활안전 해결방안
2) 중고등학교 생활안전
(1) 중고등학교 생활안전의 특징 및 문제점
(2) 중고등학교 생활안전 사례별 해결방안
(3) 중고등학교 생활안전 해결방안
3) 대학교 생활안전
(1) 대학교 생활안전의 특징 및 문제점
(2) 대학교 생활안전관련 인터뷰
(3) 대학교 생활안전 사례별 해결방안
(4) 대학교 생활안전 해결방안



본문
1. 서론

우리나라 학교 내 안전사고가 지난해 하루 평균 212건이나 일어났다고 한다. 이 수치만 봐도 어마어마한 숫자인데 이 자료가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서 통계를 내서 제출한 자료이기 때문에 대학교의 안전사고사례 수는 합쳐지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실제로는 하루에 더 많은 학교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재작년인 2009년에는 6만9487건이었는데 작년 2010년에는 7만7496건으로 감소해야할 수치가 1년 사이에 11.5%나 증가했다는 것은 우리나라 학교안전실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통계자료를 자세히 보면 전체 발생한 사고 가운데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는데 27,401건으로 35.4%를 차지했고 중학교 31.2%로 24,200건, 고등학교 26.9%인 20,861건, 유치원에서 4,530건, 특수학교 등에서 504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시간대별로 보면, 휴식시간에 가장 많이 발생했는데, 37.4%인 29,013건이며, 그 다음이 체육시간으로 31.6%인 24,461건, 이어 수업시간 8,860건, 일과시간(식사 자율 보충 청소) 6,361건, 등하교시간 5,086건, 방과 후 시간 2,063건, 실험 실습시간 547건, 기타 1,105건 순으로 나타나 휴식시간과 체육시간의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가 발생한 장소별로 분석해 본 결과, 운동장 35.9% (27,834건), 교실이 17.1%(13,240건), 계단복도가 16.2%(12,519건), 체육시설 12.6%(9,800건), 부속시설 5,119건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형태별로 보면, 충돌 부딪힘 사고가 44.1%로 가장 많은 34,186건이고, 그 다음이 41.5%인 미끄러짐 사고로 32.131건, 자상절단관통상이 4,773건, 추락 1,536건, 화상 632건 순으로 나타났는데 충돌 부딪힘 사고와 미끄러짐 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보면 학생들만의 잘못이 아니고 학교와 정부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그래서 본론에서는 학교생활안전에 대해서 각 학교별로 사례를 제시하고 사례별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짚어본 다음 결론에서 학교생활안전의 주체인 정부, 학교, 학생 각 측면별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키워드
대학교, 학교생활안전, 중고등학교, 학교, 초등학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