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개요(충장축제란?) 2. 8회 충장축제의 현황 3. 충장축제 담당자 면담 4. 축제 관계자 인터뷰 5. 충장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6. 느낀점 본문 충장축제 담당자와의 면담은 어땠니?! 충장축제 담당자 면담 Q. 축제의 계획 수립, 전반적인 과정은? 매년 12월에 축제추진위원회 30명이 회의를 거쳐 내년 축제 날짜를 정하고, 2월에 축제대행기획사를 결정함 Q. 축제운영 예산, 재정적인 어려움은? 예산 : 10억 ( 국비 1억 5천, 시비 7억, 구비 1억 5천) 현재는 민 + 관주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점차 민주도로 변화해야 함 (특히 기업이 참여하여 투자가 활성화 되어야 함) 재정적인 어려움은 물론 있음, 하지만 70,80 년대에 상권의 중심지인 충장로의 번성기를 회복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노력함 Q. 축제기간동안 상가 활성화의 기여정도와 상가의 협조 문제는? 축제기간동안 상권의 매출액이 실제로는 증가하지 못하고 있지만, 추후 관광객들이 고객이 될 수 있도록 상가홍보의 기회를 제공하는 만큼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판단 상가의 협조 문제와 관련하여 반대하는 의견이 있지만 자발적으로 세일에 참여하고 현수막이나 홍보물 등도 붙이는 등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추세 1. 자원봉사자 인터뷰(조선대 10학번 학생) Q. 자원봉사를 신청한 이유가 있나요? 광주를 대표하는 축제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충장축제가 더욱 성공할 수 있는데 힘을 보태고 싶어서입니다. Q. 자원봉사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자원봉사를 원하는 사람은 고등학생이나 대학생에 상관없이 가능하며, 안내데스크에서 간단하게 인적사항을 적고 자원봉사 하는 곳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Q. 축제가 진행되는 동안 식사나 교대근무자 등 주최 측에서 마련해준 배려가 있나요? 교대근무의 경우는 없고, 식사의 경우 따로 준비해 주는 것이 없어서 떡이나 라면으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현장에서 참여하는 바, 그들을 편의를 위한 제도와 예산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면 좀 더 체계적인 자원봉사자 모집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키워드 발전방안, 축제론, 충장축제, 광주, 방안 |
2017년 8월 27일 일요일
축제론 광주 동구의 `충장축제` 발전방안
축제론 광주 동구의 `충장축제` 발전방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