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노인간호중재술의 이론 2. 국내 노인간호중재술 관련 논문 3. 국내 노인간호중재술 - 임상 예시 4. 해외 노인간호중재술 관련 논문 5. 해외 노인간호중재술 - 임상 예시 6. 참고자료 본문 1. 노인간호중재술의 이론 1) 신체적 간호문제에 따른 간호중재 <영양 및 수분섭취> (1)영양장애(Altered nutrition) ▶간호진단: 영양부족, 영양과다 위험성, 영양과다 ▶간호중재: ①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주의깊게 사정한다(예:치아, 우울, 문화적 요인, 활동수준) ☞노인의 문제유형과 정도에 따라 간호사의 접근 유형이 달라질 수 있다. ②매주 체중을 측정한다. ③음식섭취의 양, 유형과 빈도 등을 포함한 식이일지를 기록한다. ☞섭취 음식물에 대해 주의 깊게 기록해 두면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이 어딘지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 간호사나 영양사가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식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가능하면 노인이 적극적으로 기록하는 일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 ④전반적인 건강이나 질병 조절에서 영양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만일 노화나 질병으로 식이의 변화가 요구된다면 노인에게 식이의 변화내용과 이유에 대해서 주의깊게 설명해 주어야 한다. 식이 변화의 원인을 이해하게 되면 새로운 식이계획에 보다 잘 협조할 것이다. ⑤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을 확인한다. ☞음식에 대한 기호를 알면 영양도 있으면서 선호하는 식단을 마련할 수 있다. 많은 노인은 선호하는 음식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를 쉽게 바꾸려고 하지 않는다. ⑥생화학적 측정치를 모니터한다. ☞적혈구 수치, 헤모토크릿이나 헤모글로빈 수치는 철분섭취가 적절한지를 알려준다. 전해질 수치도 정상범주를 벗어나는지 계속 확인해본다. ⑦피부, 머리카락, 손톱, 점막상태를 사정한다. 참고문헌 -Huei-Chuan Sung외 2인(2010), A preferred music listening intervention to reduce anxiety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Moon Fai Chan외 3인(2009), Effect of music on depression level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community-based older adults. -Ruth McCaffrey외 1인(2003), Effect of music on chronic osteoarthritis pain in older people. -Mayumi Kato외 7인(2008), Development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for elderly Japanese people. -송정희(2009), 치매노인에 대한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구미옥 외 3명(2005), 노인 낙상예방 운동중재 문헌분석 연구 -김인홍(2000), 간호중재로서 운동요법과 노인건강에 대한 고찰 -서울특별시 노인북부병원(www.bbhosp.go.kr) -송미순 외(2008), 노인간호학,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동아일보(2009.06.01) -한겨레신문 97/11/03 -조유향(2002).선진국의 노인보건복지 사례: 일본. 키워드 노인간호학, 간호중재술, 간호학, 노인, 중재술 |
2017년 8월 28일 월요일
노인간호학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중재술
노인간호학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중재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