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23일 목요일

애착장애(반응성 애착장애)의 정의와 진단기준, 애착장애(RAD)의 임상적 특성

애착장애(반응성 애착장애)의 정의와 진단기준, 애착장애(RAD)의 임상적 특성
애착장애(반응성 애착장애)의 정의와 진단기준, 애착장애(RAD)의 임상적 특성.hwp


본문
애착장애의 정의 및 임상특성

I. 정의

애착장애(이하 RAD(Reactive attachment Disorder: 반응성 애착장애)로 칭함: 유사한 개념)의 정의에 대한 많은 의문점과 논란은 국내외적으로 계속되고 있다. RAD란 대표적인 영유아기 장애로서 아동의 1차적 애착/양육자 관계에서의 애착문제를 넘어서서 개인과 맥락적 차원에서 아동이 사회적 능력과 관계의 장애를 보이는 것을 말한다(Richters & Volkmar, 1996). 또한 DSM-IV(1994)에 따르면 5세 이전에 시작되고 대부분 맥락에서 현저하게 장애가 있고 발달적으로 부적합한 사회적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다.



하고 싶은 말
자료들을 뒤적거리며 알짜배기로 간추려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키워드
애착장애, 장애, 애착, 반응성, 특성,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