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년기 지능의 특징 I. 추상개념의 사용 II. 가설의 생성 III. 조합적 사고와 관련 변인의 연결능력 IV. 메타인지의 발달 V. 형식적 조작능력의 영향 본문 청년기 지능의 특징 피아제에 의하면 청년기는 형식적 조작사고가 발달하는 단계이다.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는 피아제 이론에서 인지발달의 마지막 단계로서 사춘기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보통 12세경부터 15세에 시작하여 성인기까지 계속된다. 이 기간 동안에는 보다 새롭고 강력한 인지기술을 발달시킨다. 형식적 조작이란 추상적 사고와 여러 변수들의 협응을 포함하는 정신적 과업이다. 이 시기의 아동은 사물뿐 아니라 관념적인 것에 대해서도 사고하는 구조를 지니게 된다. 형식적 조작은 역전될 수 있는 정신적 표상이라는 점에서 구체적 조작과 유사하다. 그러나 형식적 조작은 좀 더 진보된 것으로 표상이 실제의 행위뿐 아니라 잠재적인 행위에까지 적용될 수 있고 가설 검증적 상황까지 고려할 수 있게 되어 더 높은 수준의 사고가 가능하게 된다. 피아제는 형식적 조작사고의 발달 양상에 의해 청년이나 성인의 사고가 아동의 사고와 질적으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성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문제에는 여러 가지 변인들이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직장으로 옮길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성인기 문제해결과정 속에는 근무조건 보수 안정성 인간관계 승진 가능성 등 고려해야 할 변인들이 무수히 있으며, 자신, 아내, 부모, 자녀의 입장에서 각기 미칠 영향들을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시행착오적으로 행동하기 전에 이들 변인들의 기능과 상호관계를 철저히 검토하여 그로부터 결론을 도출해 내는 체계적이며 논리적인 사고능력은 성인기 삶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형식적 조작사고는 이처럼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체계적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그 검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가설연역적 사고(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의 발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하고 싶은 말 자료들을 뒤적거리며 알짜배기로 간추려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키워드 사고, 조작, 피아제, 변인, 발달, 조작사고 |
2016년 6월 27일 월요일
청년기 지능의 특징 - 피아제의 형식적 조작기(형식적 조작사고)
청년기 지능의 특징 - 피아제의 형식적 조작기(형식적 조작사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