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23일 목요일

의사소통장애 임상전문가,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

의사소통장애 임상전문가,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
의사소통장애 임상전문가,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hwp


본문
1. 의사소통장애 임상전문가

임상현장에서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전문지식을 연구하는 학문은 의사소통장애학(Communication disorders and sciences), 즉 언어병리학(Speech-Language Pathology)과 청각학(Audiology), 두 분야이며, 전문적으로 맡아 일하는 임상전문가는 언어치료자(Speech-Language Pathologists)와 청능치료자(Audiologists)들이다. 언어치료자들은 주로 말 언어장애의 평가, 치료, 재활 및 상담과 기타 관련업무를 맡고 있으며 이 외에도 언어장애의 학술연구 및 임상연구를 담당하고 있다(한국언어청각임상협회, 2002). 반면에, 청능치료자들은 주로 청능장애의 평가, 재활, 보청기관련업무 및 상담을 맡고 있으며 이 외에도 청능장애의 학술연구 및 임상연구를 담당하고 있다(한국언어청각임상협회, 2002).


하고 싶은 말
자료들을 뒤적거리며 알짜배기로 간추려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키워드
장애, 언어, 임상전문가, 치료자, 연구, 청능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