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선정 동기 2. 대한항공 소개 3. 산업환경분석 4. 내부환경분석 Ⅱ. 본론 1. 제품 고급 기재 전략 2. 제품 서비스 기내 서비스의 고급화 3. 브랜드 하이엔드업체와 제휴 마케팅 4. 고객관리 마일리지 프로그램 5. 타 프리미엄 항공사와의 비교 '영국항공' Ⅲ. 결론 및 제안점 Ⅳ. 참고문헌 본문 Ⅰ.서론 1. 선정 동기 1) 항공 산업의 양극화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파레토가 백화점의 매출을 분석하여 발견한 파레토 법칙은 상위 20%의 고객이 매출의 80%를 만들어 낸다는 이론으로, 최근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는 소득 및 소비의 양극화를 잘 대변해 준다. 이러한 현상은 항공산업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기존의 대형 항공사들은 비즈니스 석 등 고급 좌석을 늘리고 있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저가 항공사가 급성장하는 등 극심한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양극화 속에서 현재 80%의 고객을 타겟으로 하는 '저비용 항공(LCC)'이 항공 산업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루프트한자, 델타, 아랍에미리트, 유나이티드, 아메리칸 항공 등이 잇달아 좌석 고급화에 매진하고 있으며 루프트한자의 뉴욕~프랑크푸르트 왕복 비즈니스 좌석은 5000달러, 에미리트항공의 뉴욕~두바이 왕복 일등급 좌석이 1만9000달러에 달하는 가격을 책정하고 있다. 우리가 조사하려는 대한항공 역시 2009년 자회사인 저비용 항공'진에어'를 출범하여 국내 노선의 수요를 맞추는 한편 기존 기업은 '프리미엄 전략'을 기반으로 상위 20%로 부터 더 많은 수익 창출을 노리고 있다. 사실상 위의 그래프 추이에 나타난 것처럼 2009년 경제위기 이래로 이코노미 좌석의 수익창출율이 프리미엄 좌석의 수익창출율보다 앞서면서 프리미엄 전략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여러 대형 항공사들이 프리미엄 전략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부터 프리미엄 전략의 당위성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한항공의 프리미엄 전략을 살펴보고 유사한 프리미엄 전략을 내세우고 있는 경쟁사들 사이에서의 입지를 찾아보려 한다. 참고문헌 대한항공 2013 지속가능 보고서 대한항공 홈페이지 kr.koreanair.com 증권사 분석자료 대한항공 고급기재 전략 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13112609510017869 http://blog.naver.com/ba090909?Redirect=Log&logNo=100112639992 프리미엄 케어서비스 http://blog.daum.net/richdia/5735803 기내서비스의 고급화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99562.html 명품와인 화장품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rame07&logNo=120145443512&categoryNo=9&viewDate=¤tPage=1&listtype=0 롯데호텔 제휴 http://www.nspna.com/news/?mode=view&newsid=74158 영국항공 홈페이지 www.britishairways.com 영국항공 최근 동향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215994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35613 키워드 항공, 대한항공, 분석, 프리미엄 |
2016년 6월 1일 수요일
대한항공 프리미엄 전략 분석
대한항공 프리미엄 전략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