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Ⅰ.서론 Ⅱ.인권이란 무엇인가 1.인권의 개념 2.인권의 특성 3.인권의 종류 4.인권과 권리의 차이점 5.인권의 필요성 Ⅲ. 인권의 역사 1. 인권개념의 태동 2. 제1차 인권혁명 ⑴영국의 명예혁명 ⑵미국의 독립혁명 ⑶프랑스 혁명 3. 제2차 인권혁명 ⑴러시아 혁명 ⑵ 1차 세계대전 이후의 인권 ⑶ 세계인권선언과 그 의의 4. 3차 인권선언 5. 근대에서의 인권의 발전 -흑백차별 /식민지 해방/ 여성 인권 Ⅳ. 현대사회 에서의 인권에 관한 다양한 쟁점 1.정보화와 인권 2.사형제도와 인권 3.인권의 보편성과 상대성 4.북한의 인권문제 Ⅴ. 결론 인권의 미래 Ⅵ .참고문헌 본문 Ⅰ.서론 인권은 그 주체인 인간이 지구상에 발을 들여놓은 이후의 시간과는 비한다면 극히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인권의 본질인 자유와 평등이 성문화된 법으로 명시된 것은 불과 200여년 전의 일이고 인권의 보장이 실질적으로 실현되는데에는 그로부터 또다시 오랜시간이 걸렸다. 이것은 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며 아직 나아가야 할 길이 먼 인류의 과제이기도 하다. 우리는 인권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역사의 흐름속에서 인권이 어떻게 발전되어왔는가, 근현대에서의 인권의 쟁점은 무엇인지의 순서로 인권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인권이란 무엇인가 1.인권의 개념 인간의 타고난 권리로, 모든 개인이 인간 존재의 보편적 가치로서 동등하게 갖는 불가양(不可讓)의 권리를 말한다. 역사적으로는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자연권 (natural rights) 으로서 주장되어 18세기 시민혁명의 인권선언으로 사람의 권리(rights of man) 로서 확립되었으며 그 이후 근대 헌법의 기본 원리로서 입헌주의 국가에서는 제도적으로 그 보장이 요구되었다. 20세기 후반 에는 세계인권을 출발점으로 하여 국제법상으로도 보편적인 권리로서 보장되었으며 인권(human rights) 이라는 용어 자체도 그것에 의해 널리 이용되게 되었다. 1948년 UN위원회는 인권을 '사회적인 성취에서 인종, 성별, 언어, 종교에 차별을 두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특권과 책임이 주어지는 기회'라고 규정했다. 민주주의 헌법에서 승인된 생존, 자유, 생명 신체의 안전과 같은 기본적인 시민권,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인 권리등을 포함한다. 참고문헌 논문 김동한, 「특집: 한, 미, 일 북한인권법비교분석」,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2008년 박광득, 「미국 북한인권법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전망- 탈북자 문제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대한정치학회보, 2006 이동희 ,「현대인권론과 공리주의-인권의정당화」 , 2009 이상환, 「국제적 반부패와 인권 문제에 대한 고찰: 보편성과 상대성의 충돌과 조화」 2007 임홍빈, 「인권개념의 철학적 정당화와 문화다원주의」, 2001 단행본 마이클 프리먼, 「인권:이론과 실천」, 아르케, 2005 최현, 「인권」, 책세상, 2008 이철수 외, 「사회복지학사전」, 2009, Blue Fish 정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2010, 한국사전연구사 요한 갈퉁,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스기하라 야스오, 「인권의 역사」, 한울, 1995 김성환, 「교과서밖의 세계사」,사계절 임영태, 「인류이야기2」, 아이필드 임매뉴얼 월러스틴, 「미국 패권의 몰락」 창비, 2004 김경묵, 「이야기 세계사」, 청아출판사, 2006 거다 러너,「역사 속의 페미니스트」, 평민사, 2007 이창신, 「미국여성사」, 살림, 2004 최무영 외, 「서울대 명품강의」, 글항아리, 2010 키워드 인권, 무엇 |
2017년 8월 1일 화요일
인권이란 무엇인가
인권이란 무엇인가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