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 성격을 관계성의 측면에서 생각한다. 성격의 일관성 논쟁의 이러한 결과에서 당연한 귀결로서 나타난 것이 상호작용론 이라고 하는 새로운 성격관이다. 상호작용론에서는 지금까지 인간의 내부에 있는 내적 실체가 행동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해 온 성격을 인간과 상황 간의 상호작용의 산물로 위치를 설정하게 된 것이다. 어떤 사람이 욕심쟁이와 같은 성격 인 것은 그 사람의 내부에 있는 욕심을 부리는 것 이 나타난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본래 가지고 있는 욕심 부리기 와 관련되는 경향과 성질 그리고 그 사람을 과거와 현재에 둘러싸고 있는 욕심 부리기 를 촉진시키는 것 같은 상황이나 환경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한 결과인 것이다. 물론 성격의 형성에 그 사람이 갖고 있는 유전적, 생리적 또는 심리적인 성질이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것들은 직접적으로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과 상황이 상호작용하여 비로소 성격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하고 싶은 말 자료들을 뒤적거리며 알짜배기로 간추려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키워드 성격, 사람, 관계, 상호작용론, 관계성, 작용론 |
2016년 6월 23일 목요일
성격의 상호작용론(성격의 일관성, 성격의 관계성, 성격변화)
성격의 상호작용론(성격의 일관성, 성격의 관계성, 성격변화)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