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2일 목요일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관성질량과 중력질량.hwp


본문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실험목적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의 동등성을 살핀다.
*이론
관성: 현재의 운동상태를 지속하게 하는 물체의 성질.
정지하고 있거나 움직이고 있는 물체는 각각 관성 때문에 움직이게 하거나, 속도의 크기나 방향을 변화시키려는 어떠한 힘에 대해서도 저항한다. 관성은 수동적인 성질로서, 물체가 힘이나 토크(회전력) 따위의 능동적인 힘에 저항하게 하는 것 외에는 물체에 아무런 작용도 하지 못한다. 즉, 움직이고 있는 물체는 관성 때문이 아니라 단지 그 움직임을 늦추거나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속도가 더 오르게 하는 힘이 없기 때문에 그 움직임을 지속하는 것이다. 관성의 크기는 관성질량과 관성 모멘트로 표시된다.
관성 질량: 물체는 힘을 받으면 가속한다.
물체에 따른 차이점-같은 힘을 가해도 물체에 따라 가속도가 틀리다.
물체에 따른 같은점- 힘을 2배로 올리면 가속도가 2배가 된다. 즉 가속도는 힘에 비례한다.
비례상수를 k 라 두면 a = kF 라 쓸 수 있다. 한편 같은 힘을 가해도 물체에 따라 가속도가 틀리다고 했으므로 비례상수 k 는 물질마다 틀리다. 즉 k 가 물질의 가속도에 관한 특성을 반영한다. k=1/m 이라 쓰고 m 을 관성질량이라 한다.


하고 싶은 말
참고자료로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키워드
질량, 중력질량, 중력, 관성질량, 관성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