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제기 2. 학생생활기록부 기재 방식의 변화 3. 학교폭력사실 생활기록부 기재에 대한 인식 1) 찬성의견 2) 반대의견 4. 논의 5. 학교폭력 대처방안 및 예방교육 1) 정책의 변화 2) 학교폭력 발생 시 갈등을 줄일 수 있는 상담방법 3) 학교폭력 예방교육(평화샘 프로젝트) 본문 1. 문제제기 <정부의 학교폭력 대책> 일진 소탕, 가해학생 강제 전학, 폭력 사실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등 종합대책을 만들어 시행 <현실> 가해 학생에 대한 제재가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학교폭력 Question? : 학교 폭력 가해자의 전과를 학생생활기록부에 기록하여 학교 폭력을 막으려는 것이 바람직할까? 영상자료 : http://imnews.com//replay /nwdesk/article/3119380_5780.html ( 최근 학교폭력 가해사실을 학생부에 기재할 지에 대한 논란) 2. 학생생활기록부 기재 방식의 변화 <1995년 김영삼 정부 시절> :'학교폭력 근절 종합 대책' 추진 <1996년 교과부 입장> :"일시적 비행 내용 기재가 진학 및 취업 등 사회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은 지나친 처사 일뿐만 아니라 비교육적"이라는 반발에 의해 생활 기록부 기재 법안 백지화 <2012년 정부>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 발표 -'95년 '학교폭력 근절 종합 대책' 방안과 유사 - 학적사항, 출결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란 외에 2012. 3. 1 부터 시행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 2조에 따른 학교폭력 행위 기재 키워드 사실, 찬반, 폭력, 학교, 생활기록부, 학교폭력사실 |
2016년 6월 5일 일요일
학교폭력사실 생활기록부 기재에 대한 찬반 의견
학교폭력사실 생활기록부 기재에 대한 찬반 의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