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3일 금요일

(가족복지론) 아동학대(아동학대 배경과 아동학대 예방대책)

(가족복지론) 아동학대(아동학대 배경과 아동학대 예방대책)
(가족복지론) 아동학대(아동학대 배경과 아동학대 예방대책).hwp


목차
제 1장 서론

제 2 장 이론적 배경
1. 아동학대의 개념
2. 아동학대의 유형
1) 신체적 학대
2) 정서적 학대
3) 성학대
4) 방임
3. 신체적 행동적 징후
4. 아동학대 원인
5. 아동학대 현황 최근자료

제 3 장 결 론
1. 아동학대 예방 및 대책


*참 고 문 헌

본문
아동기는 인간의 발달주기상 가장 중요한 시기로 기본적 성격 형성뿐만 아니라 장래의 모든 행동의 기회가 이루어지는 때이다. 이러한 때에 아동에게 가해지는 학대는 사건 그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 및 적응 등 전반적인 삶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청소년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인 후유증을 가져올 수 있으며 비행, 범죄등의 사회문제와도 무관하지 않다. 게다가 아동의 발달적 특성상 폭력에 대항하여 스스로를 보호할 수 없으며, 도움을 요청할 능력이 없어 문제가 더 심각하다. 또한 가정내에서 발생했을때 외부에서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생명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학대와 마찬가지로 성학대, 정서학대, 방임은 그 후유증이 누적되어 아동의 학대는 학대아동의 비율 차원을 넘어 학대를 당하고 있는 아동에 대한 인권을 고려하더라도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동은 미래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서 사회의 성장 동역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건강하게 성장할 의무와 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성경 외 「아동복지론」, 양서원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 아동학대 현황보고서」

하고 싶은 말
(가족복지론) 아동학대(아동학대 배경과 아동학대 예방대책)

키워드
가족복지론, 아동학대, 아동학대배경, 아동학대예방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