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 1일 금요일

가족정책론 우리나라 직업생활과 가족원의 가사참여 및 돌봄 현황 조사

가족정책론 우리나라 직업생활과 가족원의 가사참여 및 돌봄 현황 조사
[가족정책론] 우리나라 직업생활과 가족원의 가사참여 및 돌봄 현황 조사.hwp


목차
1. 직업생활
2. 가족원의 가사참여 및 돌봄 현황

참고문헌


본문
1. 직업생활

제2차 가족실태조사(여성가족부,2010)를 통해 일과 돌봄에 대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먼저 조사 대상자 중 직업생활을 하는 경우는 전체 52.8%이며,남성의 경우 71.4%, 여성 34.2%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 모두 1순위는 상용근로자로 동일하지만,두 번째 높은 비율은 남성의 경우 단독자영업자이고,여성은 임시 • 일용근로자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종사상 지위에서의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직업생활을 하는 대상자의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은 47.9시간이며,전체적으로 45시간 이상인 경우가 가장 많다. 남성의 경우 평균 49.1시간,여성은 45.3시간으로 여성의 평균 근무시간이 더 적다. 근무시간 조절에 대해서는 불가능하다는 응답이 50%를 다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집단 전체적으로 볼때,주5일제 근무(34.6%)와 일주일에 하루 휴무(34.0%)가 거의 유사한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4점으로 나타났으며,비율로는 만족한다는 집단이 48.6%로 가장 높다. 일-가정의 균형 정도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3.1점으로,보통 수준인 것을 알 수 있다. 직장의 가족친화제도와 관련하여 실시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50.0%로 나왔고,실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녀의 출산 • 양육 및 교육지원제도,근로자지 원제도,탄력적 근무제도,부양가족지원제도의 순으로 나왔다. 가족친화제도 이용 경험의 비율은 18.0%로 나왔고,이용에 따른 만족도는 3.6점으로 보통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현재 직장생활을 하고 있지 않은 집단의 일하고 있지 않은 이유는 나이가 많아서(26%), 아직 일할 때가 아니어서(25.6%) 등 연령 요인을 제외하면, 가사와 육아 때문에(20.3%)가 부각된다. 이는 성별 차이를 보여 남성은 아직 일할 때가 아니어서’,나이가 많아서’,건강상의 이유’로 등의 순서로 나타난 반면,여성의 경우 가사,육아 때문에’가 연령 요인보다 더 우선순위로 나타나,여성의 경우 일하지 않는 대표적인 이유가 가족에서의 역할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연령별로 볼 때,자녀를 기르는 시기인 30대,40대가 가사,육아요인을 1순위로 꼽고 있다.


참고문헌
차성란 저, 가족정책론, 양서원 2015
최덕경, 박주현 저, 가족정책론, 양서원 2012
김혜경, 도미향 외 저, 가족복지론, 공동체 2014
윤홍식, 송다영 외 저, 가족정책, 공동체 2011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