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 10일 일요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자기자신 분석(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자기자신 분석(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자기자신 분석(Bandura의 사회학습이론).hwp


본문
저는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을 바탕으로 재분석을 할 것입니다. Bandurad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중요시 하였고, 그로 인한 상호적 결정론에 입각하여 인간의 본성을 설명하고 있다.
각 시기별로 Bandura의 인간행동에 대한 패러다임과 관찰학습의 단계를 바탕으로 재분석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의 장점과 단점을 바탕으로 하여 자아강화와 자아효능감에 대해서도 분석할 것이다.
Bandura는 인간의 행동은 환경적 자극에 의해 동기화되며, 개인의 인지적 요인과 다른 내적 사건들에 의해 중재되어 최종적으로 표현되는 행동이 결정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새로운 행동의 학습은 외적 강화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보기 행동을 관찰하거나 대리적 강화를 통하여서도 새로운 행동의 학습은 물론 혁신적인 행동도 창조해 낼 수 있다고 한다.
내가 적용할 Bandura의 인간행동에 대한 패러다임의 내용을 보자면 P,B,E가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데 P는 개인의 인지적 요인 및 내적 사건, B는 행동 그리고 E는 외적환경을 뜻한다. 또, 관찰학습의 단계로는 모델이 되는 대상을 주의집중단계에서 모델링 자극과 관찰자의 특징을 가지고 시작한 후 파지 단계에서 모델자극 또는 모델 행동을 재생하려면 기억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기억 할 수 있도록 하는 관찰학습을 결정하는 주요요인이 된다. 운동재생단계에는 모델을 통해 얻는 행동들을 바탕으로 피드백을 하면서 수정하고 조정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동기화 단계에서는 집중하는 방식과 관찰 여부에서 동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모델의 행동 습득 및 수행이 촉진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그 결과 모델이 된 대상의 행동을 본떠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내 꿈과 내 자신에 대해 자아강화와 자아 효능감을 바탕으로 재분석할 것이다. 자아강화라는 각 개인이 수행 또는 성취의 기준을 설정하고 자신의 기대를 달성하거나 초과하거나 또는 그 수준에 못 미치는 경우에 자신에게 보상 또는 벌을 내린다는 개념이다. 또, 자아효능감은 단순히 자신이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나는 여기서 나의 장점과 단점을 사용하여 적용할 것이다.


하고 싶은 말
열심히 작성하고 좋은 평을 받은 리포트 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