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 10일 일요일

고대철학의이해 - 중국 고대철학의 형성 배경, 유가 철학에 관해

고대철학의이해 - 중국 고대철학의 형성 배경, 유가 철학에 관해
고대철학의이해 - 중국 고대철학의 형성 배경, 유가 철학에 관해.hwp


본문
중국 고대철학의 형성 배경

중국철학은 중국이라는 삶의 현장에서 우려낸 사상의 정수로, 중국 고대철학을 이해하려면 중국 고대의 자연적 사회적 조건과 문제 상황이 어떠하였는가를 알아야 할 것이다. 오늘날 중국의 면적은 약 956만 평방 킬로미터로서, 인구는 약 13억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많으며, 3800만의 촌락과 3억의 가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문화의 주체는 한족(漢族)이다. 한족은 지금 중국 인구의 90퍼센트 이상을 차지한다. 중국 국경 내에는 그밖에도 몽고족, 만주족, 티베트족, 월족, 회족 등 55개의 민족이 살고 있다.
중국의 언어는 한어(漢語)이다. 한어는 상형문자에서 기원하였으며, 어미변화가 없다. 중국인들은 예로부터 네모진 한자로써 풍부한 의미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그래서 언간의해(言簡意賅 : 말은 간결하나 뜻은 완벽하다)를 좋아하였다. 중국 철학자들의 저서는 언뜻 보기에 체계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형식상의 체계가 없다고 해서 실질상의 체계도 없는 것은 아니다. 《논어》, 《맹자》, 《노자》, 《장자》 등은 형식상의 체계는 없어 보이지만 그 안에 흐르는 일관된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중국 고대철학을 이해하려면 그 안에 담긴 일관된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1. 사회적 배경
중국 고대사회는 주나라 때 기본적인 틀이 마련되었다. 기원전 12세기에 주나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뒤 자기의 직속 영지를 제외하고 그 밖의 광대한 토지를 그의 형제, 일가, 친척, 그리고 동맹에 참여한 씨족들에게 분봉하였다. 그들 제후들은 주천자와 동성인 희씨가 대부분이었다. 그들을 동성제후라고 한다면 강태공 같은 이는 이성제후이다. 그들 동성, 이성 제후들은 “대대손손 서로 해치지 말자”고 맹약하고 혼인 관계로 유대를 다졌다. 천자와 제후들 사이의 관계는 동성의 형제가 아니면 이성의 외숙질 사이로서 모두 혈연으로 맺어졌다. 이와 같이 혈연을 매개로 하여 만든 제도를 종법제도라고 한다. 이러한 제도를 바탕으로 하여 그들 귀족들의 작위와 재산을 적장자가 대대로 물려받을 수 있는 녹위 세습제도가 확립되었다.



하고 싶은 말
열심히 작성하고 좋은 평을 받은 리포트 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