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 1일 금요일

영유아발달 아동의 사회성발달 - 사회인지의 발달, 교우관계의 발달, 집단 따돌림, 공격성의 발달,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영유아발달 아동의 사회성발달 - 사회인지의 발달, 교우관계의 발달, 집단 따돌림, 공격성의 발달,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영유아발달] 아동의 사회성발달 - 사회인지의 발달, 교우관계의 발달, 집단 따돌림, 공격성의 발달,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hwp


목차
1. 사회인지의 발달
2. 교우관계의 발달
3. 집단 따돌림
4. 공격성의 발달
5.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참고문헌


본문
1. 사회인지의 발달

아동이 타인의 관찰 가능한 행동을 통해 관찰 불가능한 내재적 상태인 의도를 바르게 판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발달과정에서 이러한 능력은 아동의 일상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학자들은 이처럼 경험 • 내재적 상태 및 행동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아동의 사고체계를 마음의 이론이라 한다(송명자,1995). 마음의 이론은 아동이 타인의 정서,의도, 생각 등을 정확하게 추론하는 능력과 이러한 추론을 바탕으로 특정 상황에서 타인의 행동을 정확하게 예언하는 능력의 발달과정을 보여준다.
의도판단 발달 양상은 아동기에도 행동의 결과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아동은 최초의 욕구와 행동의 결과가 일치하면 그 행동을 의도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높다. 또한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이거나 행동의 결과가 나쁠 때에는 의도적 행동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크다. 이러한 현상은 의도가 행위 결과와 무관한 내재적 특성이라는 사실을 아동기에도 확실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의도판단의 한계는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또래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9~17세 사이의 우리나라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의도 조망 발달을 연구한 자료에 의하면,연령이 낮은 아동의 의도판단은 행위의 결과로부터 영향을 받지만,연령이 증가할수록 행위의 결과에 관계없이 행위자의 의도성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구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김유신,송명자,1991).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