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 1일 금요일

진로상담이론 사회인지진로이론 모형의 이해(흥미발달모형, 선택모형, 수행모형)

진로상담이론 사회인지진로이론 모형의 이해(흥미발달모형, 선택모형, 수행모형)
[진로상담이론] 사회인지진로이론 모형의 이해(흥미발달모형, 선택모형, 수행모형).hwp


목차
1. 흥미발달모형
2. 선택모형
3. 수행모형

참고문헌


본문
SCCT는 진로발달과 관련하여 흥미발달모형,선택모형,수행모형 등 세 가지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각 모형을 살펴보면 선택모형은 흥미발달모형과 수행모형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모형들은 SCCT의 주요 구인들인 자기효능감,결과기대,목표,개인변인,환경변인들이 진로와 관련된 흥미,선택,수행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Lent, Brown과 Hackett(2002)은 이 모형들을 진로모형 이라 부르고 있지만그들은또한 이 모형이 학업적 흥미발달,선택,수행의 과정도 포함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1. 흥미발달모형

진로상담의 실제에서 개인 특성으로 흔히 측정되는 것 중 하나인 흥미는 전통적인 진로상담 모형에서 개인의 진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다루어진다. Holland(1997)는 흥미와 같은 개인 특성을 유전,가족 및 친구,사회문화적 환경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라 생각한다. SCOT에서는 흥미가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의해 직접적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한다(그림 1 참조). 개인은 자신이 잘할 수 있다고 믿고 해당 과업을 성취하면 자신이 가치를 두고 있는 강화를 받을 수 있다고 여길 때 관련된 진로에 대한 강한 흥미를 발달시킬 수 있다. 만약 자신이 잘할 수 없다고 여기거나 해당 과업을 성취했을 때 자신이 가치를 두고 있는 강화를 받을 수 없거나 혹은 처벌을 가져온다고 생각한다면 개인은 관련 진로에 대하여 흥미를 발달시키기 어렵다.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는 다시 흥미와 함께 활동 의도 및 목표,활동 선택과 실행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실행결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실행 결과는 다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높이거나 저하시키고,다시 흥미에 영향을 준다.


참고문헌
이재창, 조붕환 외 저,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14
김경미 저, 상담이론으로 지도하는 진로교육, 한국학술정보 2008
이현림, 송병국 외 저,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2013
김봉환, 강은희 외 저, 진로상담, 학지사 2013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