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대중청원운동 Ⅲ.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노동계급 Ⅳ.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존 스튜어트 밀 Ⅴ.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클레멘트 애틀리 Ⅵ.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비아지니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대중적 자유주의와 접촉이 없었던 글래드스턴은 1860년대부터 '체통 있는' 노동계급을 정치에서 도덕적 호소에 반응할 잠재력 있는 집단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대중 또한 글래드스턴에게서 자신들의 급진주의의 이상을 실현할 대변자를 발견하였다. 말하자면 글래드스턴이 '인민의 윌리엄'이 되고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발휘하게 된 것은 양자의 상호작용의 산물이었다. 1876년 불가리아 사태 이후의 글래드스턴의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비합리적인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것이라고 지적한 매튜의 주장을 확장한 비아지니는, 글래드스턴의 카리스마가 대중민주주의를 전통적 자유주의와 화해시켰다고 봄으로써 노동계급 급진주의의 합리주의를 부각시킨다. 이로부터 자유당과 자유주의는 글래드스턴과 동일시되었고, 대중의 자유당 지지는 자유당을 명실상부한 국민정당으로 만들었다. 그것의 이념적 기반은 디즈레일리의 제국주의를 비판하였던 미드로디언 유세(1879-80)에서 글래드스턴이 '인민'이 국민 전체의 '재정적 정직'의 보호자라고 천명한 데 있었다. ≪ 중 략 ≫ Ⅱ.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대중청원운동 청원운동의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성격을 살펴보자. 이를 위해서는 청원들을 범주화해야 한다. 청원은 크게 두 부류, 즉 청원자들의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성분을 구별할 수 없는 것과 구분이 가능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는 ' 주민'으로 통칭되는 청원들이다. (때로는 교구민, 유권자 따위로 표시되었다.) 이들은 다시 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단순히 어느 지역의 주민으로만 표시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한 집회에 모인 어느 지역의 주민으로 표시되는 경우이다. 참고문헌 김기순, 밀, 글래드스턴, 여성문제, 영국사학회, 2001 김현수, 동방문제와 영국정치 1876~1878 : 글래드스턴과 디즈레일리의 외교정책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사학회, 2006 김현수, 글래드스턴과 디즈레일리 내각의 대내 외정책,1868년-1880년, 단국대학교사학회, 1999 김기순, 신념과 비전의 정치가 글래드스턴, 한울, 2007 안덕광, 글래드스턴의 제국정책 연구 : 1882년 이집트 점령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2008 최현미, 콥던의 재정 개혁 방안과 글래드스턴의 재정 개혁, 영국사학회, 2004 키워드 윌리엄 글래드스턴, 대중청원운동, 노동계급, 존 스튜어트 밀, 클레멘트 애틀리, 클레멘트 애틀리, 비아지니 |
2017년 2월 25일 토요일
윌리엄 글래드스턴대중청원운동윌리엄 글래드스턴과 대중청원운동,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노동계급,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존 스튜어트 밀,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클레멘트 애틀리,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비아지니
윌리엄 글래드스턴대중청원운동윌리엄 글래드스턴과 대중청원운동,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노동계급,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존 스튜어트 밀,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클레멘트 애틀리, 윌리엄 글래드스턴과 비아지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