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8일 화요일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학습자료,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음악치료,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동작치료,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지도와 훈련 분석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학습자료,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음악치료,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동작치료,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지도와 훈련 분석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학습자료,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음악치료,.hwp


목차
Ⅰ. 서론

Ⅱ.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학습자료

Ⅲ.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음악치료

Ⅳ.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동작치료

Ⅴ.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지도와 훈련
1.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지도원리와 방법
2. 중복 장애아의 정의와 지도
3. 시ㆍ지각 식별력 훈련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시각장애아는 생리학적 변인이나 환경적 변인, 시간, 위협, 불안 등의 변인 때문에 개념형성에 지체를 가져올 수 있다(권기덕,김동연, 1983). 몇몇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시각장애아의 인지발달 단계는 정안아동과 같은 단계를 거치나 그 속도가 느릴 뿐이며, 피아제의 발달단계에 비교했을 때 시각장애아가 4~8년 정도 지체됨이 입증된 바 있다(Piaget, 1960, 50-61 : Simpkins와 Stephens, 1974, 26-28).
신체개념에 있어서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좌우 판별의 지식을 일반아동과 같이 발달시킬 수 있으나 다른 사람의 좌우 준거체제 속으로 그들 자신을 투사하는 것이 어렵다고 한다(Kratty와 Sams, 1968, 11-32).
공간개념 형성에 있어서는, 배울 수 있는 적절한 시기를 놓치기 쉽고 가르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갖고 있다. 공간적인 영역에서는 맹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성취점수가 현저하게 낮으나 비공간적 영역에서는 양집단간에 차이가 없다고 보고한 연구에서 보듯이, 시각은 공간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Hartlage, 1958, 69-443). 특히 실명시기는 공간지각 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여 시각적 심상이 촉각적, 근육 운동 감각적 공간지각을 시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Bartley, 1915, 177-184).
시각장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있어서는, 연구 결과가 다양하여 한마디로 결론은 내리기는 어렵다.
이를테면 정안아동과 차이가 없다는 연구도 있고(Jervis, 1959, Zunich와 Ledwith, 1965), 시각장애아가 부정적 자아개념을 갖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Meighan, 1971, 18-34 : Messner와 Thoreson, 1967, 1099-1105). 일본의 연구에서는, 현실자아에서 정안아동과 전맹간에 유의차가 없었지만 정상과 약시, 전맹과 약시간에는 유의차를 보였다(鈴木篤, 1968).

참고문헌
- 박순희, 시각 중복장애아동과의 의사소통 개발을 위한 반 다이크 접근, 국립특수교육원, 2002
- 박순희, 시각장애와 중복장애 아동을 위한 취학전교육 서비스,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5
- 임안수 이해균 박순희, 시각중복장애아 학습지도 프로그램, 국립 특수교육원, 1996
- 중복장애연구회, 맹학생의 읽기, 쓰기 지도 연수자료, 시각중복장애연구회, 1999
- 주해영, 중도 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 이해를 위한 신체현상학적 접근, 단국대학교, 2008
- 홍재영 외 1명, 시각중복장애아동의 신체활동을 촉진하는 생태학적 교수 절차와 생태학적 평가도구의 구성요소 탐색,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키워드
중복시각장애아, 중복시각장애아동, 시각장애, 장애아, 장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