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안동문화재와 지정문화재 1. 하회탈 및 병산탈 2. 징비록 3. 류성룡 종손가문적 4. 양진당 5. 충효당 6. 류성룡 종손가유물 7. 하회별신굿 탈놀이 8. 병산서원 9. 북촌댁 10. 원지정사 11. 빈연정사 12. 류시주가옥 13. 옥연정사 14. 겸암정사 15. 남촌댁 16. 주일재 17. 안동하회마을 18. 하동고택 Ⅲ. 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 Ⅳ. 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 Ⅴ. 안동문화재와 퇴계태실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지리적으로 안동은 경북북부내륙 중앙에 위치한 도시로서 경제적으로 매우 낙후된 지역으로서 1차 산업위주의 경제활동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안동은 경제적으로는 매우 낙후되었지만, "유교의 메카"일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와 유 무형의 문화재를 다량 보유한 지역이기도 하다. 전통적 삶과 문화의 발자취가 그대로 남아 있기에 지역 주민들은 선비의 본향이라는 자부심과 유교적 가치관의 보전 등 보수적 이데올로기를 매우 강하게 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역사회의 배경아래 지자체가 실시되었는데, 지자체는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추진한다는 명목아래 "축제개발"을 서두르게 된다. 안동 지자체도 시대적 붐을 따라 개발을 추진하였지만 축제개발에 합당한 슬로건을 모색하지 못하여 지역주민을 설득시키는데 다소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지자체가 주도하여 축제를 실시하였고 이때부터 본격적인 지역문화축제인 "국제탈춤페스티벌"이 시작된 것이다. ≪ 중 략 ≫ Ⅲ. 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 도산서원은 사적 제170호이고, 1969년 지정되었다. 동서재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집, 전교당 정면 4칸, 측면 2칸의 홑처마 굴도리집. 상덕사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기와집이 있다. 원래는 이황이 도산서당을 짓고 유생을 가르치며 학덕을 쌓던 곳으로, 1575년 한호의 글씨로 된 사액을 받음으로써 영남 유학의 연총이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김홍기(2008), 문화재지정 이후 전통마을 보존방침의 변천과 경관변용에 관한 연구 : 안동하회마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송승규(1998), 안동의 문화재,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서수용(1996), 안동의 문화재 : 지정문화재 편, 영남사 안상학(2000), 안동의 문화와 문화재,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안동시(2007), 안동문화재대관 이명희(2005), 지역사 학습을 위한 문화재 활용 방안 :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키워드 안동문화재, 지정문화재, 도산서원, 하회마을, 퇴계태실, 안동 |
2017년 2월 26일 일요일
안동문화재안동문화재와 지정문화재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퇴계태실안동문화재와 지정문화재, 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 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 안동문화재와 퇴계태실 분석
안동문화재안동문화재와 지정문화재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퇴계태실안동문화재와 지정문화재, 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 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 안동문화재와 퇴계태실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