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 7일 토요일

우리나라 자살의 원인과 유형 및 예방과 노력

우리나라 자살의 원인과 유형 및 예방과 노력
우리나라 자살의 원인과 유형 및 예방과 노력.hwp


목차
서론
 
Ⅰ. 자살이란?
1. 자살이란 무엇인가?
2. 자살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의견

Ⅱ. 왜 우리나라가 1위? (자살의 원인과 유형)
1. 사회적 요인
2. 심리적요인
3. 병리적 요인
4. 유물론적 원인
 
Ⅲ. 자살을 예방하자.
1. 국가적 노력-일본, 영국
2. 개인적 노력
3. 사회적 노력
 
Ⅳ. 한국 교인 왜 자살을 할까?
1. 기독교인 연예인 자살
2. 기독교인 자살의 심각성
3. 예방과 노력

결론

참고자료


본문
베르테르효과 Werther effect
독일의 문호 괴테가 1774년 출간한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서 주인공 베르테르가 연인 로테에게 실연당한 뒤 권총으로 자살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 책을 읽은 유럽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이를 모방하여 권총으로 자살하는 것이 유행처럼 퍼져 나간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유명인이 자살했다는 소식을 접한 일반인이 그 사람과 자신을 동일시해 유행처럼 스스로 목숨을 끊는 자살의 전염현상에 대해 1974년 미국의 사회학자 데이비드 필립스가 최초로 언급하였다. 최근 탤런트ㆍ영화배우 등 유명 연예인의 잇단 자살소식이 매스컴을 통해 전해지자 이를 모방한 자살 사건이 급증하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렇듯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칼빈주의 문화적 관점으로 오늘날 큰 사회문화적 이슈로 떠오르는 자살문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사람들은 자살을 왜 하는 것일까? 경제적으로 먹고 살기가 어려워서 자신의 삶을 비관하여 스스로 자신의 목숨을 끊는 것일까? 다음의 표는 자살이 가난 때문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평균의 두 배를 넘어선 모습인 것으로 보아 자살 문제는 정말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에밀 뒤르켐, 「에밀 뒤르켐의 자살론」, 창아출판사, 2009
정정숙, 「인간문제에 대한 상담학적 치유」, 도서출판 베다니, 2007
김충렬, "자살을 막을 수 있는 신앙적인 방법", 크리스쳔투데이, 2009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203799)
김충렬, "그렇게 열심히 신앙생활 하던 장로님이 왜 ", 크리스쳔투데이, 2009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200373)
김충렬, 2009, "기독교인의 자살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크리스천투데이,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199874)
안명옥, 2006년 정책자료집 - 효과적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안명옥
(http://blog.naver.com/dramo23)
자살 예방 자원 및 서비스 실태 조사, 한국자살예방협회, 2009
2011년 정신보건사업 안내(최종), 보건복지부 (http://library.mohw.go.kr)
인터넷. 시사상식사전
인터넷. 인천광역시 정신보건넷 (http://www.icmh.or.kr)




키워드
우리나라, 노력, 유형, 자살, 예방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