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 3일 화요일

광고론 7가지 심층코드의 관점에서 살펴본 `칼국수`와 `스파게티`

광고론 7가지 심층코드의 관점에서 살펴본 `칼국수`와 `스파게티`
[광고론] 7가지 심층코드의 관점에서 살펴본 `칼국수`와 `스파게티`.docx


목차
A. 칼국수

1. 균형
2. 전환
3. 여행
4. 상자
5. 연결
6. 자원
7. 통제
B. 스파게티

1. 균형
2. 전환
3. 여행
4. 상자
5. 연결
6. 자원
7. 통제


본문

1. 균형
: 칼국수는 '현대사회의 각박함, 개인화된 인간관계'와 '따뜻함, 정성어린 인간관계' 사이의 감정적 균형을 맞춰주는 음식이다.

현대사회는 분주하다. 바쁜 일상과 개인화된 인간관계 속에서 그 동안 한국의 문화에서 중요하게 여겨져 '인간적'이라고까지 표현되었던 정감어린(인간적인) 모습들이 점차 옅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특성은 현대에 성행하는 음식에서도 드러나고 있는데, 공장에서 찍어낸 가공식품들부터 패스트 푸드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식탁조차 형식적이고 기계적으로 변모해가는 측면이 있다.
칼국수는 이러한 현대사외의 분위기에 반하는 음식이다. 우리나라 전통의 음식이며 전형적인 슬로우 푸드의 예시로 볼 수 있다. '만드는 데 많은 정성이 필요한 따뜻한 음식'이라는 맥락에서 칼국수는 현대사회의 각박해진 사회상, 개인화된 인간관계에 대하여 따뜻함, 정성이 담긴 인간관계(유대감)라는 의미(meaning)를 제공함으로써 감정적 균형을 맞춰주는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심층코드, 가지, 광고론, 스파게티, 가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