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 6일 금요일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pptx


목차
작가소개
작품의 시대적 배경
작품소개
심화테마 괴담의 역사
질문


본문
◀우에다 아키나리
1734~1809 오사카
우키요조시
요미혼
국학자가인
전지기인
(剪枝畸人)
雨月物語

1766 쇼도기키미미세켄자루
세켄데카케카타기
우게쓰모노가타리 초고 완성
1776 우게쓰모노가타리 간행
1789 고킨와카슈우치기키
1791 수필집 구세이야기
1792 야스야스코토 , 세이후사겐
1794 이세이야기고이
1805 가집 쓰즈라부미
소설집 하루사메이야기
수필집 단다이쇼신로쿠
우에다 아키나리의 문학적 특징

다양한 장르
교묘하게 일본고전 구사
자유분방
촌철살인

참고문헌
이한창(2008) <우게쓰 이야기> 문학과지성사
위키백과
구글재팬
雨月物語에 나타난 女像고찰(논문)
『우게쓰모노가타리』(『雨月物語』)의 남성상 고찰 : 「기비쓰가마」의 쇼타로를 중심으로(논문)
http://blog.naver.com/closer75/80045627380
http://blog.naver.com/heeroyuri80?Redirect=Log&logNo=50088677869


키워드
일본문학, 일본문학과, 문학과, 아키나리, 콘텐츠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