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 7일 토요일

사회학 사회체계로서의 집단, 가족, 조직,지역사회 ,문화체계의 이해

사회학 사회체계로서의 집단, 가족, 조직,지역사회 ,문화체계의 이해
[사회학] 사회체계로서의 집단, 가족, 조직,지역사회 ,문화체계의 이해.hwp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체계

2. 집단체계

3. 조직체계

4. 지역사회체계

5. 문화체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인간의 발달은 진공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특정한 환경 안에 담겨 있으며, 행동을 통해 표현된다. 이처럼 인간과 그들의 삶의 영역 모두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은 체계로서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체계는 일정 기간 동안 물리적 환경을 공유하면서 맺은 상호관계를 통하여 조직화되고 안정되어 있으며, 상호간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들의 복합체이다.(권중돈 외, 2009 : 48)
사회복지 실천에서 성격 이론이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원인-결과'의 틀을 제공했다면, 사회체계이론은 '관계성'이라는 틀을 제공한다. 인간행동에 대한 사회체계론적인 이해는 행동의 원인을 심리적 접근에서 사회체계와의 관계로 확장하여 그를 둘러싸고 있는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 문화 등 사회체계와의 관계 속에서 인간행동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사회체계이론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주며 클라이언트와 사회체계 간의 연결에 관심을 갖도록 해 준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손병덕 외, 2008 : 28-29)
Bronfenbrenner(1979, 1989a)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생태체계를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적체계, 거시체계 그리고 시간체계라는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참고문헌
1. 서혜석, 송유미, 이미영,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청목출판사, 2009
2. 최덕희, 김향은, 김경은, 이영순, 전천운, 이인순, 배은영, 최미영,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창지사, 2011
3. 김준규,박언하,박승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동문사, 2010
4. 이인정, 최해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2007
5. 이근홍,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011
6. 최옥채, 박미은, 서미경, 전석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11
7. 권중동,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9
8. 김영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10
9. 이정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동문사. 2010
10. 신종우, 윤경원, 이우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동문사. 2009


키워드
문화체계, 지역사회, 사회, 사회학, 체계

댓글 없음:

댓글 쓰기